“주치의에 꾸준히 진료”…당뇨 환자 의료비 13% 감소, 관리 효과 입증
주치의를 통한 체계적 관리가 당뇨병 환자의 치료 지표와 의료비 절감에 실질적 효과를 낸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이재호, 신현영 교수팀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의료패널 내 당뇨 환자 6144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담 의사와 의료기관을 정해 지속적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의료비 지출이 평균 13.1%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업계와 의료계는 이번 결과를 주치의 중심 만성질환 관리 패러다임 확산의 분기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번 분석에서는 환자가 정기적으로 찾는 의사와 의료기관 모두를 ‘상용치료원’으로 정의해, 각각 없는 경우·의료기관만 있는 경우·의사와 의료기관이 모두 있는 경우로 그룹을 구분했다. 특히 코로나19라는 의료 접근성이 저하된 기간에, 상용치료원이 없는 환자는 의료비가 55.4%나 급증했다. 의료기관만 정해진 환자는 35.6% 증가한 반면, 의사와 기관이 모두 있는 경우엔 의료비 상승이 3.6%에 불과했다. 이는 전담 주치의를 통한 밀착 관리가 의료 위기 상황에서도 비용 증가 억제에 효과가 크다는 점을 방증한다.

주목할 점은 단순히 익숙한 병원을 다니는 것보다, 특정 의사와의 연속적 관계가 더 큰 효과로 이어졌다는 결과다. 고품질 주치의를 둔 환자는 의료비 절감 효과가 뚜렷했으며, 이 과정에서 약물 복용 순응도, 예방 서비스 이용률, 당뇨 합병증 감소 효과도 높게 나타났다. 전 세계적으로도 주치의 제도를 활용한 만성질환 관리가 치료 성과·비용 절감에 긍정 작용을 미친다는 임상 근거가 지속적으로 쌓이고 있다.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당뇨병으로 인한 입원율과 장애보정생존년수 손실이 매우 높은 국가인데, 이를 개선할 중장기 정책 해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주치의가 있는 환자는 원격진료와 전자 처방 등 새로운 의료 IT 도구의 활용도가 높고, 위기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진료와 관리가 이어졌다고 해석했다.
해외에서는 이미 1차 의료기관 중심의 주치의 연계 체계가 공공보험 및 예방 서비스와 연동돼 운영 중이다. 미국, 영국 등 고령 사회에서 만성질환 관리의 효율성과 시스템 지속가능성이 중요해지며, 주치의 중심 모델이 재조명받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도 시범 사업 확대 및 건강보험 재정 지속성, 포괄적인 의료 데이터 활용 전략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현재 보건복지부 등 정부 부처는 만성질환 주치의 시범사업과 디지털 헬스케어 연동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의료계에서는 환자·의사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건강관리 프로그램 설계와, 개인데이터 보호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이재호 교수는 “적합한 주치의를 둔 당뇨병 환자는 치료 효과와 의료비 절감에서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며, 주치의 모델이 초고령 사회 보건정책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신현영 교수 역시 “의료 현실을 반영한 포괄적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BMC 헬스 서비스 리서치’ 10월호에 발표돼 글로벌 관심도 받고 있다. 산업계는 주치의 제도가 실제 의료 현장과 보험 시스템에 안착할지, 초고령화 시대 만성질환 관리의 전환점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