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6월 물가 4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관세 여파에 인플레 압력 지속 전망
현지시각 31일, 미국(USA) 상무부는 6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월 2.7% 이후 가장 높은 오름폭으로, 4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세다. 이번 증가에는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당시 부과된 일부 상품 관세가 가격 상승을 부추긴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미국내 물가상승이 연준(Fed)의 2% 목표를 꾸준히 상회하면서 국제 금융시장과 정책 당국 모두 예의주시하고 있다.
미국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6월 PCE 가격지수의 전월 대비 상승률 역시 0.3%로 올해 2월(0.4%)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 또한 전년 동월 대비 2.8% 오르며 물가 압력이 여전한 것으로 집계됐다. 실제 대표지수와 근원지수 상승률 모두 전문가 전망치(다우존스 집계)보다 0.1%p 높게 나타났다.

PCE 가격지수는 미국내 거주자가 실제로 부담하는 상품·서비스 가격을 측정하는 대표적 물가지표다. 연준은 기준금리 등 통화정책 결정시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아니라 PCE를 주로 참고하고 있다.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역시 전년 동월 대비 2.7% 오르는 등 전반적 인플레이션 압력이 확대되는 분위기다.
경제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에서 단행된 관세 정책이 상품가격 상승을 직접 자극했다고 분석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30일(현지시각) 기자회견에서 “서비스 부문 물가는 둔화세이나, 관세 인상으로 일부 상품가격 상승이 뚜렷하다”고 진단했다. 시장에서는 금리정책 결정이 보다 신중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한편 6월 실질 개인소비지출은 전월대비 0.1% 증가해, 5월(-0.2%) 감소 이후 반등에 성공했다. 명목 기준 개인소비지출도 0.3% 상승하며, 명목 개인소득 역시 0.3% 증가로 전환됐다. 주요 외신은 “물가 상승의 중심이 서비스가 아닌 상품에 있다”(월스트리트저널)며, 향후 연준의 정책 방향에 전 세계 금융시장이 주목하고 있음을 전했다.
투자자들과 국제경제 전문가들은 관세에 기인한 물가 압력이 지속될 조짐에 주목하며, 연준의 추가 지표 관리와 금리정책 수정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이번 발표가 미 연준의 통화정책은 물론, 세계 인플레이션 추세와 시장 심리에 또 한 번의 변화를 가져올지 관심이 집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