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놀이철 외이도염 급증”…건강 빅데이터로 본 예방 신호
고온다습한 여름철에는 물놀이 인구가 급격히 늘면서, 귀 건강 이상 경보가 켜지고 있다. 2022~2024년 7~8월에만 월 평균 25만 명이 외이도염으로 병원을 찾은 것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료빅데이터에서 확인됐다. 이처럼 외이도염이 계절성 질환으로 부상하자, 의료 인프라와 디지털 헬스케어 분석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업계는 연속적인 환자 발생 추세를 ‘계절성 감염 관리’ 경쟁의 분기점으로 본다.
외이도염은 주로 박테리아나 곰팡이 감염, 혹은 면봉·귀이개 등 물리적 자극에 의해 귓속 피부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어린이나 민감성 피부, 기존 피부질환 이력이 있는 경우에 더 흔히 발생한다. 해외 연구에선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물놀이를 자주 하는 인구의 상대적 발병률이 2배 이상 높다는 수치도 보고된다. 발병 과정은 초기에 가려움 및 이물감, 진행기에 통증, 먹먹함, 일시적 청력 저하까지 이어진다. 염증이 심하면 고름이나 노란 분비물이 나오는 사례도 잦다.

특히 최근 의료기관들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대한 진료 데이터와 AI 기반 감염 패턴 예측 시스템을 병행 적용하고 있다. 정밀 의료를 위한 데이터 분석 기술이 확산되며, 계절성 환자 증가 시에는 진료 과부하 예측 및 진단 정확도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 국내에서는 외이도염 발생 시 치료 시기를 놓치면 중이염 등 난치성 합병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요구된다. 송재준 고려대 구로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초기 진단 시 간단한 약물 치료로 관리가 가능하지만, 당뇨 등 기저질환이 있는 고령자는 감염 확산 위험이 매우 높다”고 강조했다.
예방을 위해서는 물놀이 후 귓속 물기를 자연 건조하거나, 드라이기를 이용하는 등 청결 유지가 관건이다. 송 교수는 “면봉·귀이개 등으로 귀 안을 과도하게 자극하면 오히려 균열이 생겨 외이도염이 악화될 수 있으니 주의하길 권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정밀 의료 트렌드에서는 수요 예측과 맞춤형 예방솔루션 도입이 동시에 추진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디지털 헬스 시스템과 예측분석 기술의 보급이 계절성 감염 관리의 혁신을 이끌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계는 이러한 기술과 정책이 실질적으로 환자 건강관리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