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모독 논란에…허민 국가유산청장, 김건희 의혹 공식 사과”
국가유산을 둘러싼 사적 유용 의혹이 정치권을 강하게 뒤흔들고 있다. 대표적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의 종묘·경복궁 등 국가유산 시설 이용논란을 두고 허민 국가유산청장이 공식 사과하며 책임론이 확산됐다. 논란이 고조된 가운데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현장에서는 정치권과 문화계 안팎에서 날 선 비판이 쏟아졌다.
29일 국회 문체위 국정감사에서는 허민 국가유산청장이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각종 시설 이용 의혹에 대해 “국가유산을 보존·관리하는 책임자로서 대단히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머리를 숙였다. 그는 “국민 누구도 이해할 수 없는 사적 행위고, 누구도 해서는 안 되는 특혜로 생각된다”며 김 여사를 둘러싼 특혜 의혹에 분명한 입장을 내놨다. 이어 “앞으로 국가유산을 더욱 철저하게 관리하고, 규정과 절차에 소홀함이 없도록 엄격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국가유산청은 이미 내부 감찰을 착수해 의혹이 불거진 시기와 배경 등에 대해 사실관계를 집중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허 청장은 더불어민주당 조계원 의원이 “전수조사 필요성”을 제기하자 “지금 (내부) 감사를 진행 중”이라며, 관련 법무감사담당관실의 감사 인력도 보강 중이라고 답변했다.
이날 질의에서는 야당 측이 국가유산청의 기본적 관리·기록 부실을 강하게 질타했다. 조계원 의원은 “김건희의 발길만 닿으면 종묘가 카페가 되고, 어좌는 개인 소파로 전락한다”고 발언, “국가유산청이 국가 모독, 국정농단 행위를 오히려 비호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허 청장은 굳은 표정으로 “철저히 조사하겠다”고 재차 약속했다.
김건희 여사는 2023년 9월 3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종묘에서 외부인과 함께 ‘차담회’를 열고, 외부인 출입이 극히 제한된 신실까지 방문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같은 해 9월 12일에는 경복궁 근정전 어좌에 오른 사실과 박물관 수장고 기록 누락 등이 알려지면서 국민적 논란이 증폭됐다. 국가유산청은 당시 관련 근무자들을 상대로 방문 경위, 의전 절차 위반 여부 등도 종합 조사할 방침이다.
정치권과 전문가들의 비판도 연일 이어지고 있다. 국가유산청 전직 관계자는 “방문 목적과 기록 남기기는 관리자 기본”이라며, “기본을 소홀히 하다 일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문화계 관계자 역시 “과거엔 대통령 일정이라면 무조건 통과였지만, 체계적 기준으로 바꿔야 할 때”라고 주문했다.
이와 같은 논란 속에서 국가유산 관리 체계 전반에 대한 조직적인 점검 및 재정비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국회는 강도 높은 조사를 이어가며 진상 파악과 제도 개선 논의를 본격화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