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미래형 전략동맹 논의”…이재명 대통령, 25일 트럼프와 첫 정상회담
한미 정상의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첫 정상회담을 갖는다. 두 정상은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만나 양국 협력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4일 취임한 뒤 82일 만에 성사된 양국 정상 간 첫 조우다. 김혜경 여사 역시 이번 미국 방문 일정을 동행한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12일 브리핑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에 따라 24일부터 26일까지 실무 방문 형식으로 미국을 찾는다”고 밝혔다. 두 정상은 정상회담 직후 업무 오찬 자리도 함께 할 계획이다.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는 변화하는 국제안보 및 경제 환경 속에서 한미동맹을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이 될 전망이다. 강 대변인은 “굳건한 한미 연합 방위태세 강화와 한반도 평화 구축, 비핵화 공조 방안도 주요 의제로 다뤄진다”고 설명했다.
경제 협력에 대해서도 구체적 논의가 이어진다. 강 대변인은 “이번에 타결된 관세 협상을 바탕으로 반도체, 배터리, 조선 등 제조업 분야뿐 아니라 첨단기술, 핵심 광물 등 경제안보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협의도 예정돼 있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첫 회담이 한미 관계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양국이 국제정세 변화에 대응해 동맹을 미래 지향적으로 재설계할지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한편 야권 일각에서는 미국과의 경제 파트너십 강화가 국내 산업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구체적 설명과 실질적 성과를 강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특히 한미 방위 협력과 한반도 비핵화 공조 논의 결과가 향후 동북아 안보 환경 전반에 미칠 영향이 클 것이라는 분석이 이어진다. 주요 경제 현안에서 합의가 도출될 경우 반도체, 배터리 등 첨단산업 경쟁력에도 긍정적 변화가 예상된다.
한미 정상회담 이후 양국 정부는 구체적 협력 계획을 지속 협의할 방침이다. 향후 두 정상의 소통과 파트너십 강화 움직임이 연말 한미동맹 75주년 행사와 맞물려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