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연장·추가 필요하다”…여론조사서 국민 70% 이상 압도적 공감
특검 연장 또는 추가 구성 여부를 둘러싼 논쟁이 재점화됐다. 김건희 특검 수사대상자들의 해외 도피 시도와 수사 불응 상황 속에서, 특검 강화 문제를 두고 정치권과 여론이 맞섰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국민 10명 중 7명이 특검 연장이나 추가 구성을 필요하다고 답하며, 정국은 격돌 양상을 띠고 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꽃’이 7월 25일부터 26일까지 실시한 전화면접조사 결과, 김건희 특검 연장 또는 추가 특검 구성에 "동의한다"는 응답은 75.2%를 기록했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0.9%에 그쳐 격차는 54.3%포인트에 달했다. 여론의 압도적 표심이 특검 강화로 몰린 셈이다.

권역별로 모든 지역에서 ‘동의’ 응답이 다수였다. 호남권의 ‘동의’ 응답률은 90.0%로 전국 최고치였으며, 경인권 76.6%, 충청권 73.4%, 서울 73.3%, 부·울·경 72.7% 등 전국적으로 70%를 넘었다. 보수색이 강한 대구·경북에서도 ‘동의’가 62.4%로 확인됐다.
연령별 분포 역시 특징적이었다. 40대의 89.5%, 50대 83.8%, 30대 79.5%, 18~29세 74.1%, 60대 70.2%가 특검 강화에 찬성했다. 70세 이상 그룹에서는 ‘동의’가 50.9%로 ‘비동의’(40.4%)를 근소하게 상회했다. 남녀 모두 과반이상이 특검 강화 필요성에 동의해, 성별 편차 역시 뚜렷하지 않았다.
정당별로 보면 여야 입장이 극명하게 갈렸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3.2%가 연장 또는 추가 특검에 동의했다. 국민의힘 지지층은 ‘동의하지 않는다’가 58.8%로 다수였으며, 무당층에서는 '동의'가 57.1%, '비동의'는 33.7%로 찬성 의견이 오차범위 밖에서 앞섰다.
이념성향별로도 진보층 91.5%, 중도층 77.6%가 특검 강화에 공감했다. 보수층에서도 ‘동의’ 51.8%가 ‘비동의’(41.5%)를 넘어, 특검 이슈가 보편적 공론화에 가까워졌음이 다시 확인됐다.
같은 기간 진행한 ARS조사에서도 유사 결과가 나타났다. ‘동의한다’는 응답은 70.5%,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6.5%였으며, 격차는 44.0%포인트를 기록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5.3%가 특검 강화에 찬성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73.4%가 반대 입장이었다. 진보와 중도, 심지어 보수 성향 일부에서도 특검 연장 요구가 감지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여론조사 결과를 두고 사법 정의 실현에 대한 국민적 기대가 반영된 것이라 해석했다. 수사 실효성 보장을 위한 법제 개선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실제로 정치권에서는 특검 연장이나 추가 구성 요구가 더욱 힘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향후 특검 연장과 추가 특검 추진 여부가 정국 주요 변수로 부상할 전망이다. 정치권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특검 제도 보완 논의를 본격화할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