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R&D 지원 과제 2배 확대”…국가신약개발재단, 중소 바이오에 숨통 → 신약개발 생태계 활력

강민혁 기자
입력

신약 개발 지원 생태계가 다시 활력을 찾고 있다. 국가 신약 연구비를 운영하는 국가신약개발재단(KDDF)이 올해 신약 R&D 지원 과제 수를 지난해 대비 두 배 이상으로 확대하면서, 투자 위축으로 침체기에 접어들었던 중소 바이오텍의 R&D 의지가 반등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2025년도 2차 지원 대상 과제로 57개 제약바이오 기업과 기관을 선정한 데 이어, 1차로 선정된 73곳까지 합산하면 올해 총 130곳이 정부 지원을 받게 된다. 이는 전년 60곳에서 두 배 넘게 늘어난 규모로, 신약 R&D 환경의 변곡점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가신약개발재단의 지원 프로그램은 신약 기반 확충(유효물질·선도물질), 신약 R&D 생태계 구축(후보물질·비임상), 임상개발(1·2상) 등 신약 개발 초기부터 임상 전 과정에 이르는 6개 단계로 구성된다. 선정된 기관은 각 단계별로 8억원(선도물질)~91억원(임상 2상) 범위에서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현장에서는 “최소 8억원, 최대 91억원 단위의 연구비 지원은 국내 바이오텍 및 연구기관들에 실질적 버팀목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많다. 지원 규모는 유효물질 개발 12억원, 선도물질 8억원, 후보물질 12억원 내외, 비임상 20억원, 임상 1상 45억원, 임상 2상은 91억원 내외 등으로 정해져 있다.

특히 이번 과제 선정에는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연세대학교산학협력단, 박셀바이오, 이노보테라퓨틱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아이디씨, 프로티어바이오텍, 알테오젠바이오로직스, 삼진제약, 지놈앤컴퍼니, JW중외제약 등 다양한 중소·중견 바이오텍과 대학 연구팀이 고루 포함됐다. 지난해 예산 삭감으로 지원 규모가 줄었던 상황과 달리, 올해는 정부의 신약 산업 정책 기조가 ‘생태계 기반 강화와 실질적 R&D 지원 확대’로 재조정된 셈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바이오벤처와 중소형 바이오텍의 경우 R&D 자금 확보가 사업 존속과 직결된다”며 “정부 지원 확대가 침체된 바이오 R&D 시장에 분명한 긍정 신호를 줄 것”이라고 설명한다. 실제로 최근 수년간 글로벌 긴축 환경과 민간 투자 위축으로, 초기 및 중기 신약 파이프라인을 가진 바이오기업들은 임상 자금 수혈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번 재단 지원 확대에 대해 “투자 한파 속 연구단계 신약기업엔 단비와 같다”는 반응이 나오는 배경이다.

 

세계 주요국도 신약개발 파이프라인에 대한 공공 R&D 및 펀딩을 확대하는 흐름이다. 미국과 유럽은 정부 보조와 민간 협력을 바탕으로 바이오 스타트업의 임상 자금 보조 및 네트워크를 꾸준히 강화하고 있다. 반면 국내의 경우 범부처 협력 재단 주도 지원이 신약 산업의 생존 환경을 좌우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부각됐다.

 

현장에서는 투명한 집행과 R&D 성과 검증, 자금 지원의 중장기적 일관성 등 제도 개선 요구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업계는 신청 경쟁률 증가 등 시장의 ‘재점화’ 신호에도 주목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원 기회 확대를 계기로 국내 바이오산업 전반의 연구 및 임상 진입률이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가신약개발재단 관계자는 “올해는 예산이 회복되면서 지원 규모도 예년 수준을 되찾았다”며 “신약 개발기업의 역량을 키우고, 바이오 생태계 기반을 강화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산업계는 이번 지원 과제 확대가 실제 신약개발 성과와 시장 진입률로 이어질지 눈여겨보고 있다. 기술과 정책, 산업 생태계의 시너지가 지속 가능한 바이오산업 성장으로 연결되는지가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가신약개발재단#중소바이오텍#신약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