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범정부 데이터 거버넌스 강화”…안형준, 국가데이터처 중장기 전략 내놨다

강민혁 기자
입력

범정부 데이터 관리 체계 구축 방안을 두고 국가데이터처와 국회가 치열한 논의를 벌였다. 데이터 행정 혁신과 미래 정책 기반 마련을 둘러싼 방향성이 이날 국정감사에서 전면에 부상했다. 향후 데이터 기반 정책 추진이 한국 정부의 과제로 재확인됐다.

 

2025년 10월 2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한 안형준 국가데이터처장은 “범정부 데이터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데이터부 기능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통계청이 지난 10월 1일 국가데이터처로 새롭게 출범하게 된 경위를 설명하며, “지난 60여년간 통계를 기반으로 국가의 발전에 기여했던 통계청이 국가 데이터처로 출범했다”고 밝혔다.

이날 안형준 처장은 국가통계위원회를 국가통계데이터위원회로 확대하고, 국가 데이터 법 제도 정비 방안을 포함한 중장기 전략 마련 계획을 보고했다. 구체적으로 “메타 데이터 표준을 확립하고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AI가 데이터를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법제도와 전략 구축 배경에는 최근 인공지능 분야의 빠른 확장과 데이터 수요 급증이 깔려 있다.

 

국가데이터처는 데이터 행정부처로서 정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소비지출 변화를 반영한 소비자물가지수 개편도 추진하고 있다. 또 “사회이동성 개선 및 취약계층 정책 지원을 위한 소득이동통계의 공표 시기를 단축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올해 연말까지 인구동태 패널 통계를 개발·공표하고, 기준 연도 0세 부모의 육아휴직 통계를 포함한 이주배경 인구 통계를 등록 센서스 기반으로 개발한다는 계획도 공개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데이터 정책의 실효성과 인구위기 대응의 실질적 방안에 주목하고 있다. 한편 야권 관계자는 데이터 활용의 투명성과 개인정보 보호 문제에 대한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전문가들은 데이터 정책의 효율성이 국가 발전의 핵심임을 지적하면서, “횡단적 데이터 연계와 품질관리가 동반돼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해석도 덧붙였다.

 

정부와 국회는 데이터 기반 행정 혁신과 인구위기 대응 정책을 다음 단계로 끌어올리기 위해 추가적인 법제도 정비와 현장 피드백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날 국회는 범정부 데이터 전략을 놓고 정책 방향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으며, 앞으로도 관련 쟁점이 정국의 핵심 현안으로 부상할 것으로 관측된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안형준#국가데이터처#국회기획재정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