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한미 경제 유대 강화 주역”…장인화, 밴 플리트상 수상으로 대미협력 성과 주목

최동현 기자
입력

한미 경제 협력의 결실을 두고 기업과 외교계의 동력이 맞붙었다. 포스코그룹 장인화 회장이 '밴 플리트상'을 수상하며, 한국과 미국의 산업 및 공급망 강화에 기여한 점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한미 관계 개선과 대미 투자 확대가 재계와 정치권의 중요한 논쟁거리로 떠올랐다.

 

포스코그룹은 장인화 회장이 23일 미국 뉴욕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코리아소사이어티 연례 만찬에서 ‘2025 밴 플리트상’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밴 플리트상은 한국전쟁 당시 ‘한국군의 아버지’로 불린 밴 플리트 장군을 기리기 위해 1992년 제정된 상으로, 한미 간 이해·협력·우호 증진에 공헌한 개인 또는 단체에 수여된다.

주한 미국대사를 지낸 캐슬린 스티븐스 코리아소사이어티 이사장은 “장 회장이 미국 산업 생태계 재건과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지원해 양국 유대 강화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포스코그룹은 장 회장 취임 이후 철강·이차전지소재·에너지 등 핵심 사업에서 대미 투자를 강화해 왔다. 올해 4월 그룹은 현대자동차그룹과 미국 루이지애나주 제철소 합작 투자 업무협약을 맺었고, 유타주에서는 국내 기업 최초 리튬직접추출(DLE) 기술 실증사업을 추진 중이다. 또 북미산 액화천연가스(LNG) 장기 구매 계약도 체결하며, 실질적인 한미 경제 협력 모델을 제시했다.

 

장인화 회장은 수상 소감에서 “포항제철소 설립 당시 미국 철강 산업이 큰 영감이 되었고, 포스코의 첫 대미 수출과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이 그룹 성장의 이정표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동차, 조선, 에너지 등 핵심 소재 공급을 넘어 AI 기반 인텔리전트 팩토리 등 미래 혁신 협력을 통해 미국 제조업 르네상스의 동반자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는 포스코그룹의 대미 투자 확대가 한미 동맹 강화와 공급망 재편, 에너지 안보까지 직결된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또 대기업의 글로벌 협력 사례가 국익 증진과 국가 위상 제고로 이어진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한미 경제 협력의 구체적 성과가 앞으로 외교·산업 정책에도 직접적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이날 수상식과 포스코그룹의 대미 투자 확대 논의가 이어지며, 정부와 재계의 정책 협력 방향에도 변화가 예고됐다. 정부는 주요 대미 협력사업에 지속적인 지원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최동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장인화#포스코그룹#밴플리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