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광복회관, 원래 주인에게 돌아가야”…광복회 ‘환수 TF’ 출범, 정부도 환원 의지

윤찬우 기자
입력

광복회와 정부가 여의도 광복회관 소유권을 둘러싸고 정면 충돌했다. 2018년 정부 귀속 이후 불씨로 남았던 환수 문제에 대해 광복회가 전면전을 예고하며 태스크포스(TF)를 결성했다. 강윤진 국가보훈부 차관이 공식적으로 환원 의지를 밝히면서 논란이 새 국면에 접어들 전망이다.

 

광복회는 24일 서울 여의도 광복회관에서 ‘광복회관 환수 TF’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 태스크포스는 김진 광복회 부회장을 팀장으로, 고문 3명, 위원 4명, 간사 1명까지 총 9명으로 구성됐다. 이번 TF의 목적은 정부로 소유권이 이전된 광복회관을 다시 광복회가 직접 보유하도록 환수하는 데 있다. 

김진 부회장은 출범식에서 “광복회관은 2018년 재건축 과정에 정부가 대일청구권 자금의 일부인 순애기금을 투입했다는 이유로 소유권이 정부로 넘어갔다”며 “선열들의 정신적 유산이자 광복회의 심장과 같은 이곳은 광복회에 마땅히 돌려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랜 기간 독립운동의 상징 공간으로 기능해온 만큼, 소유권도 독립운동 후손들의 단체인 광복회가 되찾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부의 입장도 주목됐다. 출범식에 참석한 강윤진 국가보훈부 차관은 “광복회관 환수 문제는 독립운동의 상징적인 터전인 광복회관을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는 정상화 과정”이라며 “광복 80주년에 광복회의 위상을 바로 세우는 가장 의미 있는 일”이라고 밝혔다. 이어 “보훈부도 광복회관을 광복회에 돌려주는 데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처럼 광복회와 정부 양측 모두 환수를 위한 의지를 드러냈다.

 

정치권과 보훈 단체들은 이번 TF 출범을 계기로 광복회관 소유권 문제의 재논의를 촉구하고 있다. 정부 대일청구권 자금 투입 논란이 계속됐지만, 광복 80주년을 앞두고 여론 역시 광복회관의 역사적 상징성 복원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양측의 움직임에 따라 환수 절차, 향후 관련 법적 절차 등이 본격화될 지 주목된다. 광복회 TF는 추가 대외 활동과 정책 건의에 착수할 예정이며, 정부 역시 광복회와 긴밀한 협의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윤찬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광복회#광복회관#국가보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