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대화 물꼬 기여”...정동영, 김영남 사망에 조의 표명
남북 간 공식 접촉이 끊긴 가운데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김영남 전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사망에 대해 조의를 표명했다. 한반도 평화와 대화의 상징적 인물을 기리며 남북관계의 의미를 다시금 환기시킨 셈이다.
정동영 장관은 4일 통일부 대변인이 대독한 조의문에서 “김영남 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부고를 접하고 애도의 뜻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의문은 남북통신선이 단절된 상황에서 통일부가 공식적으로 발표한 것으로, 정부는 관계 부처 협의를 거친 것으로 전해졌다.

정 장관은 김영남 전 위원장이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북측 대표단을 이끌고 방문해 남북대화의 물꼬를 트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2005년 6월과 2018년 9월 평양에서 김 위원장을 만나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누었던 기억이 난다”며 지난 교류의 의미를 강조했다.
정동영 장관은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과 북측 관계자 여러분께도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고 덧붙였다.
정부의 대북 조의 표명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05년 연형묵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사망 시에도 정동영 통일부 장관 명의로 북측에 전통문이 발송된 바 있다. 이후 2006년 림동옥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2015년 김양건 노동당 비서 사망 때도 해당 장관 명의의 조의가 전해졌다. 다만,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당시에는 류우익 통일부 장관 명의로 담화문 발표에 그쳤다.
정치권은 남북 간 신뢰 복원과 대화 재개 필요성이 거론되는 가운데, 정부의 공식 조의 표명이 남북관계에 어떤 변곡점을 가져올지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남북 간 통신선이 복구될 경우, 교류 재개와 대화 재시동 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