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허브로 도약”…정부-오픈AI, 국내 데이터센터 협력 본격화
AI 인프라 확보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정부가 오픈AI와 손잡고 국내 AI데이터센터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삼성·SK 등 국내 대표기업과의 신속한 협력도 병행 추진되면서, 한국이 동북아 AI 생태계의 핵심 거점으로 도약할 가능성에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오픈AI는 “한국이 아시아태평양에서 전략적 AI허브로 성장할 잠재력이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2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류제명 2차관은 최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크리스 리헤인 오픈AI 글로벌 대외협력 최고책임자와 만나, 지난 1일 체결한 양해각서(MOU) 후속조치와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정부와 오픈AI는 AI데이터센터 구축, 인재 양성, 산업 협력 방안을 구체적으로 점검했다. 오픈AI는 그간 ‘스타게이트’ 등 대규모 AI 인프라 구축 이니셔티브를 총괄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단위의 AI 확산 전략을 한국에 적극 적용할 계획을 내비쳤다.

이번 논의의 핵심은 오픈AI가 올해부터 발표하는 ‘AI in South Korea-OpenAI’s Economic Blueprint’에서 드러난다. 이 보고서는 AI기술이 국가와 지역에 가져올 경제·산업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인력·전력·정책·기술 수준 등 필수 자원의 효율적 배치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오픈AI 측은 “한국의 정부 주도 AI 전략, 기업군의 기술력, 신속한 전력 공급, AI 수요가 결합할 때, 동북아 AI 생태계의 거점으로서 경쟁력이 높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기술협력은 국내외 빅테크 기업이 AI 자원 확보 및 인프라 구축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데이터센터의 물리적 입지와 에너지 확보, 인재 유치가 산업 경쟁력의 분수령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정부가 오픈AI에 데이터센터 구축 프로젝트의 ‘최우선순위’ 반영을 강력 요청한 배경도 여기에 있다. 한편, 삼성·SK 등 국내 대기업과의 직접 협의 채널을 신속히 가동해, 국가 차원의 ‘AI 공동 생태계’ 조성도 논의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미국·유럽 등 주요국이 자국 내 AI 데이터센터 유치 및 전문인재 확보, 전력망·인프라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맞서 한국도 오픈AI 등 글로벌 선도기업과의 직접 협력, 국내 핵심 기업의 전략 참여를 기반으로, AI 인프라 시장에서 격차를 좁혀가는 흐름이다.
기술·산업적 효과와 별개로, 대규모 데이터센터 구축에 수반되는 개인정보 보호, 전력망 안정, 산업전반의 규제 등 문제도 남아 있다. 추후 정부와 오픈AI, 삼성·SK 등 기업들이 구체적 MOU 협력 범위와 안전 장치 도입을 조율할 전망이다. 류제명 2차관은 “기술이 곧 경제이자 안보가 되는 시대에, 글로벌 협력이 국가 미래를 좌우한다”면서 “이번 협력을 디딤돌 삼아 한국이 동북아 AI 허브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업계는 이번 정부-오픈AI 협력이 국내에 실질적인 AI 인프라 확충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현재 AI 패권 경쟁이 기술력뿐 아니라, 인프라와 제도, 산업적 실전 적용 지형에서 전체 산업구조 재편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