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평화 분위기 속 신뢰회복 중요”…이재명 대통령, 김여정 담화에 남북관계 개선 의지 강조
정치

“평화 분위기 속 신뢰회복 중요”…이재명 대통령, 김여정 담화에 남북관계 개선 의지 강조

한채린 기자
입력

남북관계의 신뢰 회복을 둘러싸고 이재명 대통령과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대립각을 세웠다. 28일 북한의 강경 담화가 발표되며 한반도를 둘러싼 정치적 긴장감이 고조됐다. 대통령실의 공식 입장과 통일부 장관의 발언이 잇따라 나오며, 대화 단절 위기 속 정부의 평화정책 방향이 주목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오후 대통령실에서 정동영 통일부 장관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자리에서 “평화적 분위기 속에서 남북한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동시에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발표한 대남 담화에 관한 장관 의견도 직접 물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여권의 대북정책 기조 속에서 “지난 몇 년간의 적대적 정책으로 남북 간 불신의 벽이 높은 만큼 평화정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 정 장관은 남북 신뢰 회복과 긴장 완화를 향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이에 앞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조한관계는 동족이라는 개념의 시간대를 완전히 벗어났다”는 제목의 담화를 통해 대남 유화 메시지에 부정적 입장을 드러냈다. 그는 “우리는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으며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공식입장을 다시금 명백히 밝힌다”고 주장했다. 강경한 메시지를 통해 남측의 대북 제안과 대화 시도를 전면 부정한 셈이다.

 

정치권 내에서는 정부가 남북 신뢰 회복의 필요성을 강조함에도 북한의 반응이 매우 비판적으로 나온 점에 주목하고 있다. 여야는 “남북 경제협력 등 실질적 방안이 시급하다”는 의견과 “대화 무용론” 사이에서 입장차를 보인다. 일각에선 남북 불신의 장기화가 한반도 안보 불안정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재명 대통령과 정동영 통일부 장관의 발언으로, 정부가 대화의 문을 닫지 않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상황이다. 다만 북한의 공식 입장이 강경한 만큼, 향후 남북관계가 위기와 대화 시도를 반복할지 주목된다. 정부는 추가 대북 메시지와 외교적 해법을 검토할 예정이다.

한채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대통령#김여정#정동영통일부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