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로 사업비용 부담 가중”…미 연준, 일부 제조업 소비자가격 전가 우려
현지시각 10월 15일, 미국(USA) 연방준비제도(Fed)가 공개한 10월 베이지북에서 최근 관세 정책으로 인해 여러 지역의 사업자들이 실제로 투입비용 상승 압박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분석 결과는 업종에 따라 비용 증가가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방식에도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며, 국제 무역정책 변화의 여진이 미국 시장 구조 전반에 미치고 있음을 반영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기간 중 미국 내 물가가 추가로 상승하는 가운데 수입 비용, 보험, 의료, 기술 서비스 등 각종 서비스 가격도 전반적으로 오르고 있다. 연준은 특히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투입비용이 상승한 사례가 많았지만, 업종별 가격 전가 양상에는 차이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가격에 민감한 일부 업종은 고객 반발을 우려해 판매가격을 동결했지만, 제조업과 소매업 중 일부는 투입비용 증가분이 최종적으로 소비자 가격에 완전히 반영됐다고 덧붙였다.

연준의 베이지북은 12개 지역 연방준비은행이 은행, 기업, 전문가 의견을 수집해 최신 경제 동향을 정리하는 핵심 보고서다. 이번 10월 베이지북은 전기(9월) 발표 이후 지난 10월 6일까지의 지역별 설문조사를 반영했다. 보고서는 또, 최근 미국 내 고용 수준은 안정적인 반면 전반적으로 노동 수요는 억제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USA) 경제 전반의 흐름 역시 지난해 9월과 비교해 큰 변화 없이 완만하다는 점도 함께 강조됐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시장 전문가들은 관세 정책 여파가 공급망과 소비자 비용 구조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CNN은 “관세 부담이 소비자까지 전가되는 양상은 향후 미국 내 인플레이션 압력과 통화정책 조정에도 변수가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도 “업종별로 가격 전가 능력에 차이가 커, 중소기업이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보고서는 연준이 오는 10월 28~29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통해 향후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할 예정인 가운데 공개돼 주목받고 있다. 연준의 정책 스탠스와 물가 동향, 노동시장 흐름이 맞물리며 글로벌 경제 전망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국제사회는 이번 베이지북 발표가 실제로 연준의 금리 정책과 향후 거시경제 다이나믹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