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자막 삭제 지시, 내란 방조 행위”…KTV, 국정감사서 공식 사과
방송 자막 삭제 논란을 둘러싸고 국회에서 정치권과 산하기관이 정면 충돌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계엄에 비판적인 자막을 삭제한 의혹에 대해 한국정책방송원(KTV)이 국정감사 석상에서 공식 사과했다. 정치권의 강한 질타와 사퇴 압박 속에서 국민 신뢰 회복 방안 마련이 과제로 남게 됐다.
20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는 KTV의 12·3 계엄방송 자막 삭제 의혹이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다.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은 “12·3 계엄 이후 내란 과정에서 수많은 문제 제기가 있었는데, 내란 동조 행위라는 비판에 대해 사과한 적이 있느냐”고 추궁했다. 또 이은우 전 KTV 원장의 직위해제 사실까지 거론하며 “원장이 직위 해제됐다는 건 문제가 많았다는 의미다. 너무 뻔뻔한 것 아니냐”고 강하게 질책했다.

이어 같은 당 박수현 의원 역시 “사실 보도를 거부하고 정권 입맛대로 뉴스를 검열·조작하라는 지시는 명백한 내란 방조 행위”라고 비판 수준을 높였다.
이에 대해 이찬구 KTV 원장 직무대행은 "저희 조직 내부나 저나 반성하고 국민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을 정중하게 드린다. 공식적으로 사과드린다"며 머리를 숙였다. 내부 징계 조치와 별개로, 국민 신뢰 회복을 위한 후속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도 강조한 셈이다.
또 행사 운영의 중립성 논란도 도마 위에 올랐다. 민주당 양문석 의원이 김건희 여사의 KTV 무관중 국악 공연 관람, 이른바 '황제 공연 관람' 의혹에 문제 의식을 제기하자, 이 직무대행은 "문제가 많다"고 인정했다. 양 의원은 "KTV 스스로 이 문제에 대해 오명을 벗어야 한다"며, 의혹 당시 대통령실 문화체육관광비서관 등 책임자에 대한 선제적 고소·고발을 촉구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방송 공공성 훼손 책임과 관련해 KTV의 엄정한 자체 조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또 KTV 내부 인사 징계 수준과 대국민 사과가 과연 충분한 대응인지에 대한 논란도 이어졌다.
이번 사안은 언론 공공성과 권력에 대한 방송기관의 독립성이 동시에 도마에 오르며 정치권 공방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이날 국회 문체위는 KTV 사태를 두고 여야 간 설전과 질타가 반복됐다. 정치권은 KTV 후속 대책과 책임자 문책 여부를 주시하며 관리·감독 강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