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식 대북 확성기 철거”…국방부, 남북 군사적 긴장 완화 조치 발표
남북 군사적 긴장 완화 문제를 두고 국방부와 북한이 맞붙었다. 국방부가 동해·서해·중부 최전방에 설치된 대북 고정식 확성기의 철거에 착수하며, 양측의 군사적 신호전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남북 확성기 방송의 재개, 중단을 둘러싼 공방이 2025년 하반기 한반도 정세의 또 다른 변수로 떠올랐다.
군 당국은 4일 오전 “군의 대비 태세에 영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남북 간 긴장 완화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며 대북 확성기 철거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이날 국방부는 “고정식 대북 확성기 20여 개를 2~3일 내 철거할 예정”이라고 명시했다. 확성기 철거 작업은 즉각 시작됐으며, 모든 장비는 이번 주 내로 전량 철거될 전망이다.

이번 조치는 이재명 정부 출범 초 남북 확성기 방송 중단 조치와 연동된다. 6월 11일 군은 모든 대북 확성기 방송을 멈췄고, 이에 북한 역시 대남 소음방송 중단으로 상응했다. 남북이 각기 선제적 신호를 주고받으며 대화의 창구를 다시 여는 모양새라는 평가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남북 군사적 긴장도가 고조되지 않는 상황 속에, 이번 확성기 철거 조치가 한반도 대화 재개의 징검다리가 될지 주목하고 있다. 반면 일각에선 경계태세 완화에 대한 우려와 함께, 북한의 추가적 반응에 촉각이 곤두선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남북이 확성기와 소음방송 등 물리적 심리전을 동시 중단한 것은 군사적 충돌 가능성을 낮추는 긍정적 신호”라고 분석하면서도, 교착 국면인 남북관계에 새로운 돌파구로 이어질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을 제기했다.
이에 따라 군과 정부는 확성기 철거 이후 북한의 태도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 남북 간 대화 재개 및 추가 신뢰 조성 조치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