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인간극장 정데레사, 산골 꽃밭에서 눈물과 미소를 걷다”→애틋한 모녀의 동행이 남긴 울림
엔터

“인간극장 정데레사, 산골 꽃밭에서 눈물과 미소를 걷다”→애틋한 모녀의 동행이 남긴 울림

윤가은 기자
입력

경상북도 영천의 산골, 해가 들기 전부터 분주한 하루가 시작된 곳에서 정데레사의 작은 움직임이 새벽을 깨웠다. 동물 친구들의 먹이를 챙기고, 마당을 누비는 길고양이와 염소, 당나귀까지, 삶의 풍경은 고요한 듯 살아 있다. 팔순을 넘긴 어머니 김정순 곁을 지키는 정데레사는, 오늘도 산과 꽃, 그리고 울타리 안의 온기를 뒤로한 채 각자의 하루를 살아간다.

 

정데레사는 한때 미국에서 홀로 두 아들을 키우며 긴 나날을 버텨왔다. 아이들이 독립한 후 모국으로 돌아올 결심을 하게 된 데에는 한국에 남겨진 어머니에 대한 애틋함이 밑바탕이 됐다. 어린 시절 각기 떨어져 있었던 모녀는 오랜 이별을 딛고 천천히 일상을 재구성해야만 했다. 단독이 아닌, 너무도 느슨하게 연결된 동거. 각자의 집에서 각자의 방식을 유지하는 엄마와 딸은 억지로 맞추지 않기에 오히려 진심이 닿는 편안함을 발견해냈다.

“척박함 속 피어난 위로”…‘인간극장’ 정데레사, 산골 꽃밭→슬픔과 희망의 동행 / KBS
“척박함 속 피어난 위로”…‘인간극장’ 정데레사, 산골 꽃밭→슬픔과 희망의 동행 / KBS

그러나 운명은 또 다른 시련을 안겼다. 한참을 적응하던 적막한 영천 땅에서, 미국에 남긴 큰아들이 급작스럽게 세상을 떠난 것이다. 앞선 자식의 삶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던 어머니의 죄스러움과 정데레사의 깊은 상실감은 둘 다를 산골에 더욱 숨게 만들었다. 모든 것을 정리한 뒤 비닐하우스를 올리고, 돌밭을 갈며 꽃을 심는 일로 하루를 버텼던 정데레사. 그는 작업에 몰두하며 차츰 희미해졌던 감정에 다시 색을 입히기 시작했다. 절망이 머물렀던 자리마다 새 꽃이 번지듯, 데레사의 내면에도 점차 빛이 스며들었다.

 

척박한 땅에서 자란 꽃처럼, 정데레사는 잃어버린 이들을 대신해 하루를 살아내고자 한다. 새벽녘 꽃시장으로 향하는 길, 조금씩 농사일에 익숙해지는 손길, 그리고 바쁜 와중 막걸리 한잔에 이웃과 겨우 미소를 주고받는 날들. 꽃밭은 그의 상실마저 품은 채, 산골에도 잔잔한 희망의 이야기를 피워낸다.

 

영천의 작은 오두막에 기대 사는 엄마와 딸. 인생의 굽이마다 스며든 단단함과, 서로를 생각하는 한 마디의 온기가 이들의 나날을 새롭게 한다. 세상이 던진 시련 속에서도 사랑은 씻겨나가지 않고, 산과 들, 그리고 꽃들 사이로 정데레사와 김정순의 시계는 담담히 흐른다. 삶의 무게와 위로가 교차하는 산골의 여름, 그곳에서 피어난 희망의 꽃이 시청자 마음에도 깊은 여운을 남길 예정이다.

 

KBS1 ‘인간극장–데레사의 꽃밭’은 9월 15일 오전 7시 50분, 영천 산골의 사계와 함께 정데레사의 슬픔과 희망을 화면에 담아 시청자를 만난다.

윤가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데레사#인간극장#김정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