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균 의혹’ 핵심 제보자 강혜경 특검 출석”…김건희 특검, 여론조사 공천개입 정조준
‘명태균 의혹’을 둘러싼 정치권 파장이 확산되는 가운데, 제보 당사자인 강혜경 씨가 16일 김건희 특별검사팀에 참고인으로 출석했다. 대선을 전후한 여론조사와 공천개입을 둘러싼 의혹의 물증을 확보하려는 수사팀과 핵심 제보자의 대면이 이뤄지며 정국이 다시 격랑에 휩싸였다.
강혜경 씨는 이날 오전 9시 53분, 서울 광화문 KT빌딩에 마련된 김건희 특별검사팀 사무실에 모습을 드러냈다. 강 씨는 "특검에서 모든 진실이 밝혀지길 기대한다"며 취재진 앞에 심경을 전했다. 이날 강 씨의 변호인은 ‘명태균 PC 및 강혜경 HDD 1개, SSD 2개’가 적힌 박스를 특검에 제출하며 "특검이 공익제보자가 제공한 모든 자료를 증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관련 재판에서 피고인들이 증거 법리로 다퉈서 혐의를 피해 나갈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강 씨는 명태균 씨가 실질적으로 운영해온 미래한국연구소의 부소장을 역임했고, 동시에 김영선 전 국회의원의 회계책임자로 활동한 이력이 있다. 과거 ‘여론조사 대납’ 및 ‘공천개입’ 의혹을 처음 사회에 알린 인물로서, 20대 대선 기간 명 씨가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에게 여론조사를 무상 제공하고, 그 대가로 2022년 6·1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시 김영선 전 의원의 공천을 추진했다는 의혹의 출발점에 있다.
수사 당국은 명태균 씨가 총 81차례에 걸쳐 불법 여론조사를 제공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강 씨는 또한 홍준표 전 대구시장과 오세훈 서울시장에 대한 여론조사비 대납 의혹과 관련해 검찰·경찰 참고인 조사에도 임한 바 있다. 이들 사건은 모두 이번 김건희 특별검사팀의 공식 수사대상에 올라 있다.
여야는 이번 참고인 출석을 놓고 격론을 벌이고 있다. 여권 일각에서는 "정치적 의도가 깔린 무리한 확대 수사"라며 강하게 반발하는 반면, 야권은 "의혹의 실체 규명을 위한 불가피한 절차"라고 해석한다. 정치권 주변에선 "대선 전후 여론조사와 공천의 거래 관계가 실체를 드러낼지 주목된다"는 전망도 제기됐다.
한편, 특검팀은 강 씨가 제출한 디지털 자료 분석을 통해 불법 여론조사와 공천개입 친정을 가릴 방침이다. 여론조사 대납과 불법 공천 연계 의혹의 실체가 추가로 드러날 경우, 향후 대선 및 보궐선거 전반의 정당 공천 시스템 논란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정치권은 ‘명태균 의혹’ 제보자를 둘러싼 이날 특검 출석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진실공방에 돌입할 것으로 예측된다. 김건희 특별검사팀은 강혜경 씨가 제출한 자료를 중심으로 추가 증거확보와 신속한 수사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