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부대 토양서 벤젠 검출”…식약처, 일상 노출 저감 가이드 제시
잦은 군부대와 산업현장 벤젠 오염 논란이 재점화된 가운데, 식품을 통한 노출뿐만 아니라 일상 속 공기 중 벤젠 저감이 산업·생활 전반의 위생·안전 기준으로 부상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공개한 유해물질 정보에 따르면, 벤젠은 안식향산(벤존산)과 비타민C가 동시에 존재하고 금속 촉매가 작용할 경우 음료 내에서 미량으로 생성될 수 있다. 2000년대 초 국제적 우려가 불거진 후, 당국은 비타민C와 안식향산나트륨 혼합을 금지하고 가공식품 제조공정의 개선을 유도하며 산업적 관리책을 시행해왔다.
벤젠은 휘발성이 높아 대기·토양 오염을 야기하다가 쉽게 공기 중으로 이동한다. 산업 현장뿐 아니라 접착제, 페인트, 왁스, 살충제 등 생활용품을 통한 간접 노출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건강영향 면에서는 노출 농도가 높지 않더라도 혈액계 이상, 장기적으론 재생불량성 빈혈과 급성 골수성 백혈병 등 심각한 질환 위험이 확인됐다. 실제로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벤젠을 1군 인체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어, 산업·생활 환경 모두에서 관리 필요성이 커지는 상황이다.

특히 이번 군부대 조사에서는 최근 5년간 전국 79개 부대 중 63곳의 토양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벤젠, 비소, 카드뮴 등 발암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지역사회 환경·위생 리스크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시장과 산업 관점에서 식약처는 음료 내 자연생성 방지책 이외에도 천연보존료 사용 확대, 살균공정 강화 등 제조업체를 겨냥한 개선 정책을 추진해왔다. 일반인은 오염된 공기 흡입, 오염수·음료·식품 섭취를 통한 노출까지 다양한 경로에 노출될 수 있어 사전 차단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해외 선진국도 발암성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관리 기준을 연차별로 강화하고 있다. 미국 환경청은 산업용·생활용 벤젠 노출 기준 강화를 지속 추진 중이며 일본·유럽도 식품·환경 기준을 상향 조정하는 추세다. 국내경우 식약처가 관련 업계에 제조공정 개선을 권고하고 있지만 실내 생활환경 벤젠 차단 지침은 추가적 고도화가 필요한 단계로 분석된다.
개인 차원에서는 1일 3회 30분 이상의 실내 환기, 가전제품 필터 정기 교체, 숯·식물 활용 자연정화 등 일상 실천 방안이 강조된다. 전문가는 “벤젠 노출 억제는 산업과 일상 모두에서 총체적 관리체계 확립이 전제”라며 “환경자료·위험분석에 근거한 정책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업계와 시민사회는 향후 식약처 관리지침의 강화, 공기질·식품 안전성 평가지표 고도화, 각종 환경사고 발생 시 실시간 정보공개 등 종합적 제도 보완에 주목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벤젠 검출 논란이 시장 및 생활환경 전반의 안전관리 수준을 끌어올릴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