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흐린 바다 위에 걷는다”…파도 소리 따라 걷는 부산, 도시의 감성적 휴식
라이프

“흐린 바다 위에 걷는다”…파도 소리 따라 걷는 부산, 도시의 감성적 휴식

박진우 기자
입력

요즘 부산을 찾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 예전엔 해운대에서 여름을 즐기는 계절적 여행지가 주류였다면, 지금은 흐린 날씨마저 품어내는 감성적인 산책과 도시의 결이 일상이 됐다.  

 

부산은 늘 바다와 함께 살아간다. 9월 중순, 26.8도의 선선한 바람이 불고 흐린 구름 사이로 파도 소리가 도시 전체를 감싼다. 해운대 해변을 걷던 박지현(32) 씨는 “흐린 날이 오히려 바다의 색을 더 깊고 차분하게 만들어 준다”며 “맑을 때와 다른 고요함에 절로 마음이 차분해진다”고 고백했다.  

사진 = 포토코리아(한국관광공사) 부산
사진 = 포토코리아(한국관광공사) 부산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을 찾은 방문객 수는 코로나19 이전의 91%까지 회복했다. 계절에 상관없이 부산 해안 산책로와 문화마을을 찾는 이들이 계속 늘고 있다. 특히 해운대를 따라 이어진 산책로와 8경 중 하나로 꼽히는 동백섬, 바닷가 사찰로 이름난 해동용궁사의 인기는 식을 줄 모른다. 해운대의 유래 또한 이야기로 남아 있다. 신라 말 학자 최치원이 이 풍광에 감탄해 직접 ‘해운대’ 세 글자를 바위에 새겼다는 전설이 긴 시간을 거슬러 오늘에 닿는다.  

 

바다와 가장 가까운 사찰, 기장 해동용궁사에선 파도 소리가 법당 안까지 스며든다. 1376년 창건된 이 사찰에선 바닷바람을 맞으며 소원을 비는 이들로 108계단이 이어진다. 바위 절벽에 세워진 법당과 수평선 너머 펼쳐진 풍광은 보는 이마다 “도시와 자연, 신화가 한 화면에 겹쳤다”는 감상을 품게 한다.  

 

여행 칼럼니스트 정희영 씨는 “부산 바다와 함께 걷는다는 건 단순한 휴양이 아니라, 내 일상 한가운데에서 감정의 층위를 바꿔보는 일”이라며 “걷는 리듬 사이로 파도 소리가 스며드는 경험은 이 도시만의 생활 문화를 만든다”고 느꼈다.  

 

댓글 반응도 흥미롭다. “흐린 날 부산 바다는 사진 맛이 더 난다” “혼자 걷기에 최적인 산책로, 부산만의 여유다” “흰여울문화마을 골목길에서 찍은 사진만 보면 영화 속 한 장면 같다” 등, 흐린 날에 더 특별한 의미를 찾는 글들이 이어진다.  

 

실제로 흰여울문화마을에선, 절벽을 따라 늘어진 골목길과 사진작가들의 시선이 오가는 감성적인 분위기가 자연스레 피어난다. 오래된 가옥이 예술 공간으로 변신해 낯선 여행객 마저도 잠시 머물 수 있게 한다.  

 

이제 부산의 해안 풍경은 단순한 관광이 아니라, 다양한 감정과 일상의 쉼표를 담는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다. 울창한 해변 산책로, 흐린 바다 위로 부는 바람, 바다와 예술이 어우러진 공간에서 우리는 조금 더 천천히 흔적을 남기며 걷는다.  

 

작고 사소한 선택이지만, 우리 삶의 방향은 그 안에서 조금씩 바뀌고 있다.

박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부산#해운대#흰여울문화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