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첫 상업 발사체 승인”…이노스페이스, 우주항공청 허가로 한빛-나노 미션 착수
한국 민간 우주항공 산업이 새로운 도약의 기로에 섰다. 20일, 민간 상업 우주발사체 기업 이노스페이스가 우주항공청(이하 KASA)으로부터 국내 최초로 민간 상업 발사 허가를 공식 획득했다. 이노스페이스는 '한빛-나노'(HANBIT-Nano) 발사를 위한 절차를 모두 완료하고, 본격적인 우주 상업발사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
이노스페이스는 이날 배포한 자료를 통해 브라질 알칸타라 우주센터에서 한빛-나노 '스페이스워드' 미션 임무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발사는 10월 28일부터 11월 28일까지 한 달간의 발사 윈도우(가능 기간) 내에서 기상 및 기술 조건, 브라질 공군과의 운용 일정 등을 고려해 브라질 공군과 최종 협의를 거쳐 확정된다. 당초 11월 7일까지로 예정됐던 윈도우에 예비 기간을 추가하며 11월 28일까지 확대했다는 설명이다.

역사적인 이번 임무는 브라질 우주 발사장에서 민간이 수행하는 첫 상업 발사이자, 실제 고객의 소형 위성과 탑재체 9기를 한 번에 300㎞ 저궤도에 실어 올린다. 이노스페이스는 브라질, 인도, 한국 등 5개 고객사와의 계약을 통해 소형위성, 실험 장치 등 다양한 정규 탑재체 8기와 브랜딩 모델 1종을 우주에 운송할 예정이다.
한빛-나노 스페이스워드 미션은 단순한 기술 검증 수준을 넘어, 본격적인 글로벌 상업우주 발사 시장 진출의 신호탄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노스페이스가 자체 구축한 발사 플랫폼을 선보이는 한편, 발사체 안전성·임무능력·환경 및 안보 등 모든 기준을 국가로부터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분석이다.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이사는 “이번 발사 허가는 국내 민간 기업 최초로 상업 발사를 위한 법적·기술적 신뢰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를 가진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또 “이번 스페이스워드 미션은 단순한 비행시험이 아니라, 고객 위성과 탑재체를 우주로 직접 운송하는 상업 발사 시장 진출의 역사적 이정표”라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는 우주항공청 출범 이후 첫 민간 상업발사 허가 사례인 이노스페이스의 ‘한빛-나노’ 프로젝트를 성장동력 확보와 신사업 확대의 계기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업계 전문가들 역시 “미국, 유럽 등과 경쟁할 수 있는 기술적 역량을 국내 민간이 확보했다는 상징적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정부 역시 지속적인 민간 우주산업 지원 정책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산업통상자원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민간 우주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사업화, 인재양성, 기술 투자 등 관련 정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날 이노스페이스의 민간 상업발사 승인 소식에 정치권과 산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와 국회는 향후 우주항공청 중심의 기술 생태계 확대와 글로벌 발사 서비스 경쟁력 제고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