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 의료공백 막겠다”…정은경 장관, 의사 집단행동 속 응급의료 비상대책 강조
의사 집단행동과 추석 연휴 의료대란 우려 속에서 정부와 의료계의 충돌이 더욱 격화됐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10월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직접 의료현장의 위기를 짚으며 의료안전망 강화를 약속했다. 현장 의료진의 어려움과 응급의학과 전공의 복귀율 저조 등이 공개되면서, 연휴 기간 의료공백 파장에 정치권과 시민사회도 긴장하고 있다.
정은경 장관은 이날 116차 의사 집단행동 대책본부 회의에서 “응급의학과 전공의 복귀율이 낮은 현실, 비수도권 일부 지역 의료공백이 심각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정부는 전국 413개 응급의료기관과 17개 광역 외상센터를 24시간 가동키로 했으며, 문 여는 병원·약국 확대, 119구급대와의 협력 강화 등 비상조치 마련을 논의했다. 소아·산모 등 특수환자 이송 핫라인 구축, 경증환자 분산 치료 시스템 등 현장 맞춤형 대응책도 포함됐다.

정은경 장관은 “장기간 연휴 기간 국민이 안심하고 진료받을 수 있도록 비상근무 체계를 유지하고, 응급의료서비스 공백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현장 의료진과 119구급대의 헌신에 감사의 뜻을 거듭 전하면서, 국민들에게도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여야와 전문가들은 정부의 긴급조치가 일시적 처방에 머물지 않으려면 의료계와의 소통, 실질적 합의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일부 지역의 의료공백 심화 사례와 연휴 응급실 과밀화 등에 우려가 이어지는 가운데, 국민 불안감이 정책 추진의 또다른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정은경 장관은 전날 제1차 통합돌봄정책위원회를 주재하며 초고령사회 대응 정책, 내년 3월 시행될 돌봄통합지원법의 제도적 기반도 점검했다. 정은경 장관은 “관계부처, 지자체, 전문가 모두가 협력해 국민 건강수명과 삶의 질을 높이겠다”며 범정부적 협력 기조를 재확인했다.
정부는 의료현장 목소리 수렴과 맞춤형 지원정책 마련에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정치권은 추석 연휴 전후 의료공백 논란을 둘러싸고 향후 대책 마련에 치열한 논의를 이어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