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정상회의 앞두고 전국 테러경보 격상도 검토”…김민석 총리, 대국민 소통과 안전 강조
정치권은 오는 10월 말 경주에서 예정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테러 위협 대응을 둘러싼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21차 국가테러대책위원회 회의에서 김민석 국무총리는 "행사가 임박한 시점에는 전국적인 테러 경보 격상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국 단위의 테러 관리와 안전 대응 전략이 정상회의의 성패를 가를 것으로 전망된다.
김 총리는 이날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어떤 의도를 가진 당사자 주체의 입장에서 본다면 결국 목표는 꼭 행사장만을 겨냥하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하는 것이 당연하다"며 행사장 외에도 전국 단위의 관리 실효성 제고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어 "출입국 관리를 철저히 하고, 주요 다중이용시설, 국가 중요 시설 등 안전 관리에도 만전을 기해야 된다"며 범정부 차원의 대응 체계 구축을 지시했다.

또한 김 총리는 "각종 소요, 사건 사고 발생 가능성도 최소화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주문했고, "국내외 테러 정보 수집, 요인 현장 경호, 시설 안전 관리 등 전 과정에 걸쳐 대응 체계를 단단하게 해야 한다"며 체계적이고 선제적인 대책 필요성을 덧붙였다. 아울러 국민 생활에 제약이 생길 수 있는 만큼 "대국민 소통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이번 APEC 정상회의가 성공적으로 개최되는 가장 단단한 기반은 테러에 대한 대응과 예방"이라며, 테러 예방과 관리가 국가 위상과 국민 신뢰의 기반임을 재차 확인했다. 그는 "우리 국격에, 또 국민 눈높이에 맞는 K-APEC이 되도록 안전 관리에 빈틈없이 준비해야 된다"고 거듭 당부했다.
본인 역시 대선 기간 당에서 테러 대응 책임 경험을 밝히며 "엄청난 부담을 느끼게 되더라"며 실질적인 긴장감을 언급했다. 그는 "최근 국가 기관에 대한 위협, 주요 인사에 대한 위해 우려가 이어지는 혼란의 시기를 겪었다"면서, 특히 현장 기관의 부담과 긴장 상황을 몸소 체험했다고 회고했다.
정부는 APEC 정상회의 행사 성공적 개최를 위한 테러 대응 체계를 재정비하는 한편, 향후 전국적 경보 단계를 조정할 방침이다. 정치권도 안전 문제를 두고 논의를 이어가고 있으며, 국민의 생활 안정과 국가 신뢰 확보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계속 펼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