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지방정부 탄소중립 협력”…오영훈, 제주서 8개 시도현 공동실천 제안
한일 지방정부 간 탄소중립 정책과 협력 방안을 두고 한국과 일본 8개 시·도·현이 제주에 모인다. 한일해협의 지방자치단체들이 다자간 공동 행동에 나서며, 기후 위기 대응과 협력의 새 전기가 주목된다. 33회를 맞은 ‘한일해협연안 시도현교류 지사회의’가 오는 11월 1일부터 2일까지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 일원에서 개최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025년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마련된 이번 회의가 한일 양국 우호 협력의 성과 기반 위에 향후 공동 번영 비전을 제시할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24일 밝혔다. 올해 회의의 주제는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실현을 위한 탄소중립 시책’으로 정해졌다. 참석 시·도·현은 각기 추진 중인 탄소중립 정책을 공유하고, 지방정부 차원의 협력체계와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데 방점을 두고 있다.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회의 발표자로 직접 나서 ‘2040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과 ‘2035 탄소중립 비전’ 등 제주도의 정책과 성과를 제시할 예정이다. 오 지사는 “기후위기 대응에서 지방정부가 선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8개 지방정부 간 다자간 협력체계 구축을 공식적으로 제안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제주도는 후쿠오카, 사가, 나가사키, 야마구치 등 일본 4개 현과 부산, 전남, 경남 등 한국 3개 시·도 등 총 8개 지방정부의 실질적 연대를 강화하기 위한 공동교류사업 발굴과 실천 의지를 담은 공동성명문을 채택할 방침이다. 회의 후 공동기자회견도 예고됐다.
한일해협연안 시도현 교류 지사회의는 지난 1992년 제주 개최를 시작으로 단 한 차례도 중단 없이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다. 제주도는 제1회(1992년), 제9회(2000년), 제17회(2008년), 제25회(2016년)에 이어 올해 다섯 번째 회의를 주최하게 됐다.
이번 회의의 결과와 향후 실질적 협력 방안은 지역사회 및 양국 정부의 지속가능발전 정책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제주도는 “지방정부 간 연대를 바탕으로 실효적인 탄소중립 실천에 앞장서겠다”며, 공동사업 추진과 연례 협의체 활성화 등 후속 협력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