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누리상품권 위고비 구입 심각”…한성숙, 약국 오남용 우려에 공동대응 시사
온누리상품권을 활용한 비만 치료제 ‘위고비’ 구입 증가를 둘러싸고 중소벤처기업부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안전처 등 관계기관이 공동 대응에 나선다. 상품권 사용처 확대에 따른 부작용과 오남용 우려가 야기되면서 정책적 대책 마련이 촉구되고 있다.
2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온누리상품권 위고비 구입 부분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이 온누리상품권으로 약국에서의 매출이 늘고, 비만 치료제인 위고비 구매에도 쓰이고 있다고 질의하자 한 장관은 이같이 답했다.

한성숙 장관은 이어 “보건복지부, 식품의약안전처와 공동 대응 논의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온누리상품권으로 의약품을 사는 것은 제도상 허용되지만, 디지털온누리상품권 구매 시 10% 할인 등 절차상 이익을 활용해 약품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어 오남용 우려가 높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특히 최근 약국의 매출 증가세와 맞물려 상품권 본래 취지와 어긋난다는 지적이 여야를 막론하고 제기된다.
온누리상품권 오남용 논란과 관련해 중소벤처기업부는 내년부터 업종별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침을 밝혔다. 한 장관은 “내년에 업종별로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라며 “좀 더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온누리상품권과 지역상품권의 통합 운영 필요성을 묻는 질의에는 통합의 긍정·부정 양면을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한성숙 장관은 “두 개의 장단점과 공통된 부분이 있어 복잡한 이슈”라며 “연구용역이나 행정안전부와의 협의, 국회 논의 등을 거쳐 정리하겠다”고 언급했다. 통합운영 추진 과정에서 소비자 혼란 해소와 시스템 정비의 난제가 예상된다는 점도 함께 설명했다.
정치권에서는 온누리상품권의 취지에 맞는 사용방안 마련과 오남용 방지책 도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거세다. 향후 국회는 관련 정책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착수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