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에도 방송 멈추지 않는다”…방미통위, 합동 재난대응 훈련 시행
지진과 대형 화재 등 복합 재난이 일어난 가운데, 방송 송출이 중단되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정부와 방송사 및 유관기관의 합동 대응 훈련이 추진됐다.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는 31일 오후 정부과천청사와 매일방송 서울 본사에서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의 일환으로 대규모 방송재난 합동 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에는 방미통위를 비롯해 MBN, 중부소방서, 중구청, 중부경찰서 등 18개 기관이 참여해 실시간 상황 보고, 방송 재난 알림 요청, 즉각적인 복구 조치 실행 등을 중심으로 실제 재난과 유사한 상황별 프로토콜을 점검했다.
특히 지진 발생에 따른 정전 이후 방송사옥에서 화재가 이어진다는 ‘복합 위기 시나리오’ 아래, 방송 중단에 대한 비상 송출 체계 구축과 주조정실 기능의 신속한 대체, 정전 발생 시 필수 복구 물자 지원 절차까지 전 과정을 실제처럼 진단했다. 이번 훈련에서 방미통위와 방송사, 소방·경찰·지자체 간 대응 속도와 협업 능력, 정보 공유 체계 등이 실질적으로 평가됐다.

이처럼 방송 송출의 연속성 보장과 신속 복구는 대형 재난에서 국민의 안전과 정보 접근권 확보에 직결되는 핵심 IT 기반 인프라로, 최근 재난관리 패러다임의 중요한 변화로 꼽힌다. 전통적인 방송 시스템은 전력·네트워크 중단 한계에 취약했지만, 이번 실전 점검을 통해 자체 비상발전 설비, 분산형 주조정실 운용, 기관 간 재난정보 실시간 연동 시스템 등 기술적 대비책이 동시에 검증됐다.
국내서는 이러한 재난대응형 방송 안심망 구축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일본 등에서는 태풍·지진·화재 등 대형 재난 시 긴급 알림 및 송출 백업망을 법적으로 의무화하는 추세다. 반면 국내 제도는 일부 시설에 한해 기준이 마련돼 있어, 향후 정부와 방송사 간 상시 비상 시스템 구축 및 확장 논의가 더 필요하다는 평가도 있다.
방미통위 관계자는 “합동 훈련을 통해 위기 발생 시 신속하고 유기적인 협업 체계를 강화하겠다”며 “재난이 닥쳐도 국민이 안심하고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 준비를 이어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산업계는 한층 정교해진 재난대응이 실제 위기 국면에서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