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 자격 박탈 검토”…대한체육회, 미성년 폭력 감독 무관용→공정위 강경 기조
침묵했던 체육계에 다시 긴장감이 감돈다. 미성년자 대상 폭력과 성범죄에 대한 경각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대한체육회가 무관용 원칙의 징계 강화 방침을 공식화했다. 지도자 자격 영구 박탈까지 거론되면서 현장 선수와 지도자 모두에게 경종이 울렸다.
대한체육회는 22일 오전 서울 송파구 올림픽회관 13층 대회의실에서 스포츠공정위원회를 열어, 미성년자를 노린 폭력 및 성범죄에 대한 징계 규정 강화 방안을 심의할 예정이다. 최근 경북 상주 중학교 씨름부 삽 폭행 사건, 철인3종 등 잇단 미성년자 학대 사례로 체육계 전반에 위기감이 높아진 데 따른 조치다.

앞서 체육회는 올해 5월, 성인 지도자에 의한 미성년자 대상 폭력과 성범죄 가중처벌 조항을 신설하고, 징계 시효 연장과 시효 기산점 예외 조치를 발표했다. 이에 더해 피해자 보호 및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즉각적 격리 조치까지 내놓으며, 점진적이나마 피해자 중심 대책을 강화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스포츠공정위원회 규정 개정과 더불어, 경기인등록 규정 또한 개정될 가능성이 크다. 가해 지도자가 징계 이후 다시 복귀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기 위해, 영구 자격 박탈 규정 도입이 초점으로 떠올랐다. 이는 최근 여러 종목에서 반복된 미성년자 폭력과 가혹행위가 사회적 분노로 번진 현실을 반영한다.
유승민 회장은 제도 개선 필요성을 직접 언급했다. 그는 “경북 상주 씨름부 사건 등 계속되는 미성년자 피해 사례에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며, 가해 지도자에 대한 영구 박탈 및 무관용 원칙을 재차 강조했다. 실제 현장에서는 해당 방침에 대한 찬반 논의가 오가고 있어, 현장의 변화가 어느 정도 실현될지 주목된다.
한편, 이번 회의에서는 경기 단체별 징계 사안과 더불어, 국가대표 선수 바꿔치기 의혹이 제기된 대한탁구협회 사건도 논의될 예정이다. 탁구협회는 경기력향상위원회에서 선수 교체 절차 미숙 지적을 받았고, 규정 적용 문제를 들어 스포츠윤리센터의 기관 경고에 대해 재심을 요청한 상태다.
혼란의 체육계에서 가장 우선되는 질문은 변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용기 있는 소수의 목소리가, 무관용의 원칙과 더 강한 제도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대한체육회 스포츠공정위원회 회의는 9월 22일 오전 10시 올림픽회관에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