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발사체 공백 3년”…산업 생태계 위기론 확산
국산 발사체 누리호가 2027년 6차 발사를 끝으로 최대 3년간의 장기 공백에 들어갈 전망이다. 이 공백기는 국내 우주 발사체 산업과 뿌리 기업에 구조적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된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와 우주항공청 제출 자료에 따르면, 현재 누리호는 2027년 이후 더 이상 예정 발사가 없으며, 차세대 발사체의 개발 및 도입은 소모형은 2031년, 재사용형은 2036년에나 본격 추진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8~2030년 기간 국내 발사 업무가 사실상 중단되며 공공기관·민간기업 위성을 해외 발사체에 의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 현장에선 일감 절벽 조짐이 이미 드러나고 있다. 최근 누리호 4~6차용 엔진 연소기 납품이 종료되고, 협력업체들은 생산 공정 정지와 인력 감축 문제에 직면해 있다. 장기간 발사체 생산의 공백은 제조 인력 유지와 기술 축적에 심각한 단절을 초래할 수 있다. 실제 현장에선 내년부터 조직 해체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기술 인력 수급 문제 역시 심각하게 제기된다. 인재 양성이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항우연에 집중돼 있고, 민간기업·스타트업 향 인재 이동이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이어진다. 대학 차원의 학과 신설, 정원 확충 등이 일부 이뤄지고 있으나 변동성 높은 발사 수요와 불확실한 산업 성장으로 인해 민간 경쟁력 강화로 연결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정부는 우주산업 펀드 및 투자진흥지구 제도 등으로 민간·스타트업 참여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발사체 산업 특유의 고위험성, 장기 투자 회수라는 구조적 한계로 인해 중소기업과 신생 기업의 실제 진입은 쉽지 않다는 지적이 강하다. 누리호 추가 발사나 차세대 발사체 시험 일정 조기화 등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발사체 공급 공백이 이어질 경우, 인력 유출과 기업 도산 등으로 산업 생태계가 뿌리째 흔들릴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업계 전문가들은 “발사 서비스의 단절이 인재와 기술 기반 양면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항우연 중심 구조 대신, 민간이 주도적으로 개발과 상용화 단계에 참여하도록 하는 인재 순환과 리스크 분담형 투자 생태계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산업계는 향후 3년간의 발사체 공백을 극복하지 못하면 글로벌 우주 산업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한다. 현실성 있는 정부 정책 유도와 연속적인 시험 발사 기회 제공만이 기술·산업 생태계의 붕괴를 막을 관건으로 꼽히고 있다. 기술과 인력, 민간 투자환경 개선 간 균형이 국가 항공우주산업의 미래를 좌우할 조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