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논문 표절 아냐…카피킬러 신뢰 못해” 이진숙, 인사청문회서 의혹 정면 반박
정치

“논문 표절 아냐…카피킬러 신뢰 못해” 이진숙, 인사청문회서 의혹 정면 반박

조수빈 기자
입력

논문 표절 의혹과 건강보험 자격 논란을 둘러싼 공방이 국회 인사청문회장에서 불거졌다.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16일 자신의 논문 다수에 표절 논란이 제기되자 “학계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한, 사실관계와 다른 보도”라며 의혹을 일축했다. 논문 표절 정국이 교육계와 정치권을 강하게 흔들고 있다.

 

이진숙 후보자는 이날 “충남대학교가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2007년부터 총장 임용 전까지 제출한 약 100편의 논문을 검증했으며, 모두 표절률 10% 미만이라는 판단을 받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논문 표절 의혹으로 거론된 2007년 이전 논문 역시 본인이 카피킬러로 검사한 결과 10%를 근소하게 넘는 수준이었고, 시스템상 유사자료가 겹칠 때마다 유사율이 상승하는 원리가 있다”며 “실제 표절률은 전문가 검증 절차를 거쳐야만 알 수 있다”고 해명했다. 이어 “카피킬러 자체를 신뢰할 수 없다”며, 단순 수치로 표절 여부를 단정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서도 부당한 저자 표시가 아니라고 해명했다. 이 후보자는 “이공계에서는 논문 기여도를 바탕으로 1저자를 선정하는 것이 관행이고, 대학원생의 논문 역시 지도교수의 연구과제 일부로 진행되는 구조”라며 “제자 논문에서 1저자로 오른 경우가 전체 30% 정도이며, 대부분은 제자와의 공동연구 또는 참여연구 형태였다”고 설명했다. 연구비 분배와 발표 순서, 지도교수의 역할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라는 것이다.

 

청문회에서 “제자가 아닌 교수가 1저자가 되면 학생 학위가 무효 아니냐”는 취지의 질의에는, “이공계 학위 논문은 교수와 학생의 공동연구가 필수로, 충남대학교도 이를 평가기준으로 삼는다”고 반박했다. 윤리적 기준 미달 주장에 대해선 “세부적으로 보면 오탈자 등 사소한 실수가 있었을 뿐”이라고 했다.

 

한편, 결혼한 차녀가 국민건강보험 피보험자로 등재돼 있었다는 의혹엔 “건강보험 문제는 단순 실수였으며, 아이는 이미 미국에서 건강보험을 가입했다”면서, 잘못을 인지한 직후 지역가입자로 신속히 전환했다고 밝혔다. 이진숙 후보자는 “이와 같은 실수가 있었던 점 국민께 진심으로 사죄드린다”며 직접 자리에서 일어나 고개를 숙였다.

 

여야 공방도 팽팽했다. 국민의힘 김대식 의원은 이 후보자에게 “대통령이 지명 철회하기 전 직접 사퇴할 의향이 있느냐”고 물었으나, 이 후보자는 답변을 삼갔다. 다만 “22대 충남대 총동창회와 전국 국공립대학총장협의회, 다수의 교수 집단이 지지 성명을 냈다”고 덧붙여 의혹 불식에 총력을 기울였다.

 

교육계와 정치권에서는 논문 검증 방식, 지도교수의 논문기여 관행 등 학계 내부 기준과 국민상식 사이의 인식 차이가 불씨가 되고 있다. 국회는 인사청문회 이후 이진숙 후보자 검증 보고서 채택 여부를 두고 추가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조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진숙#논문표절#인사청문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