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MAU 4억 명 돌파”…스레드, 2년 만에 X와 경쟁 구도 재편
현지시각 12일, 미국(USA)에서 메타플랫폼이 운영하는 텍스트 기반 소셜미디어 ‘스레드’의 월간 활성 이용자(MAU)가 출시 2년 만에 4억 명을 돌파한 것으로 공식 발표됐다. AI 및 신기능 도입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이번 성장세는 글로벌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시장에 새로운 긴장감을 불어넣고 있다.
애덤 모세리 인스타그램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매달 스레드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4억 명을 넘어섰다”고 직접 밝혔다. 지난 2023년 7월에 출시된 스레드는 불과 2년 만에 이같은 성장세를 보이며,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CEO 역시 올해 4월 스레드 MAU가 3억5천만 명을 넘어섰으며, 분기만에 5천만 명이 추가됐다고 언급했다.

스레드는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엑스(X, 옛 트위터)’와의 경쟁 구도로 세계 시장에 등장했다. 머스크는 지난해 엑스의 월간 이용자가 6억 명을 돌파했다고 밝힌 바 있으나, 최근 스레드가 빠른 속도로 격차를 좁히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시장조사업체 시밀러웹 실적에 따르면, 지난 6월 스레드의 모바일 일간 활성 이용자는 1억1천510만 명으로 전년 대비 127.8% 성장한 반면, 같은 기간 엑스는 1억3천200만 명으로 15.2% 감소해 명확한 대조를 이뤘다.
다만 웹 브라우저 접속 기준에서는 여전히 엑스가 앞서는 상황이다. 6월 웹 방문자 수는 엑스가 1억4천580만 명, 스레드는 690만 명에 그쳤다. 이 같은 수치는 아직 ‘X’의 고정 팬층과 트래픽 기반 강점이 견고함을 보여준다.
스레드의 성장 배경으로는 최근 1년간 집중된 다이렉트 메시지(DM), 외부 SNS 연동 ‘페디버스(fediverse)’, 맞춤형 피드, 그리고 인공지능(AI) 기능 등이 꼽힌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러한 업그레이드가 사용자 체류 시간과 신규 가입자를 빠르게 늘리는 기폭제가 됐다고 분석한다. 애덤 모세리 CEO 또한 “스레드는 트위터와 경쟁하는 아이디어에서 시작해 다양한 관점을 나누는 의미 있는 공간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국 정보기술 매체와 국제외신들은 스레드와 엑스 간 경쟁이 본격적으로 재점화된 국면이라며, 다음 단계의 판도에 대한 주목을 당부했다. 뉴욕타임스,BBC 등은 “메타가 AI 등 신기술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사용자 확대를 꾀하고 있다”며 시장 영향력을 지켜봐야 한다고 전했다.
앞으로 SNS 산업 구도는 스레드의 후속 성장세 지속 여부와 기능 업그레이드, 엑스의 전략적 대응 등에 따라 추가 변동이 전망된다. 투자업계 역시 각 플랫폼의 실적과 분기별 성장률, 신규 기술 도입 효과를 면밀히 관찰해야 할 시점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글로벌 SNS 시장의 판도 변화에 전 세계 이용자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