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동결건조 기술로 화장품 혁신”…제네웰, 겔랑과 손잡다

김서준 기자
입력

의료기기 기반 동결건조 기술이 프리미엄 화장품 산업의 혁신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의료기기 기업 제네웰이 프랑스 화장품 브랜드 메종 겔랑과 협업해, 안티에이징 신제품 ‘아베이 로얄 비 랩 샷’에 고농축 유효성분 전달 기술을 적용했다. 겔랑은 루이비통, 디올 등을 보유한 글로벌 명품 그룹 LVMH 산하 뷰티 기업이다. 제네웰은 이번 협력을 계기로 의료기기 분야에서 쌓아 온 고분자 생체재료 및 동결건조 기술을 최초로 뷰티 분야에 상용화, 유럽과 아시아 등 글로벌 코스메틱 시장 공략에 나섰다.

 

제네웰의 독자적 동결건조 기술은 유효성분인 블랙 비 허니, 비타민C 유도체 등을 고농도로 안정화해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기존 화장품 제조 공정에 비해 유효성분의 손실 및 변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해당 기술은 조직보충재 ‘마티젠’ 등 의료기기 제품 생산에 적용돼 왔으며, 이번 제품을 통해 이차산업으로의 전용 상용화 사례를 남겼다.

새로운 스킨케어 제품은 지난 7월 프랑스에 선출시된 후 유럽 전역 및 아시아권에서 공식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 의료기기에서 검증된 차별화된 첨단 동결건조 공정이 프리미엄 코스메틱에도 적용되며, 소비자는 보다 신선하고 효과적인 성분을 피부에 전달받을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 피부노화 방지, 미백, 피부층 재생 등 기능성 분야에서 기술효과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는 추세다.

 

글로벌 뷰티업계에서는 경쟁적으로 첨단 바이오 기술 접목에 나서고 있다. 제네웰 사례처럼 의료기기 기반 동결건조 및 고분자 생체재료 기술이 화장품 소재화되는 사례는 명품 화장품 본고장인 유럽, 미국 일부 하이테크 브랜드 중심으로 속속 등장하는 중이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과학적 기능과 안전성을 양립할 수 있는 기술력이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협업을 계기로 국내 바이오 의료기술의 화장품 분야 진출이 본격화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한편, 제네웰은 스위스 피부전문 제약사와 피부 트러블 케어용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 공급을 확대하는 등, 코스메틱 외에도 의료바이오 소재 해외 진출 행보를 넓히고 있다.

 

식약처 등 규제 당국의 범용 의료기기 소재 코스메틱 적용 기준도 향후 이슈로 부상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의료기기에서 검증된 원천기술이 코스메틱에 빠르게 안착하려면 효능·안전성 입증, 글로벌 품질 규제 대응 등이 과제로 남아있다”고 진단한다.

 

업계는 의료기기-화장품 융합 사례가 글로벌 시장 확대의 신호탄이 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기술과 산업의 경계를 넘어선 혁신이 뷰티시장 지형을 바꿀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제네웰#메종겔랑#lvm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