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AI가 주도한 매출 3조원 시대”…네이버, 사업 전반 성장 가속

서현우 기자
입력

AI 기술이 국내 플랫폼 산업의 성장 패러다임을 다시 쓰고 있다. 네이버가 업계 최초로 분기 매출 3조원을 돌파하며, 검색·커머스·핀테크 등 전 사업 부문에서 인공지능 접목 효과를 확인했다. 업계는 이번 실적 발표를 ‘국내 플랫폼 성장 경쟁의 변곡점’으로 해석하고 있다.

 

네이버는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3조1381억원, 영업이익 5706억원, 당기순이익 7347억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5.6%, 영업이익은 8.6%, 당기순이익은 38.6% 늘었다. 사업 부문별로는 서치플랫폼이 1조602억원, 커머스 9855억원, 핀테크 4331억원, 콘텐츠 5093억원, 엔터프라이즈 1500억원을 거뒀다.

이번 실적의 동력은 AI 기술 고도화다. 서치플랫폼은 대규모 AI 분석 기반의 맞춤형 광고(애드부스트)와 피드 서비스 확대에 힘입어 매출 성장세를 이어갔다. 홈 피드 일평균 이용자 수가 1000만명을 돌파할 만큼, AI가 추천과 개인화 영역에서 경쟁력을 입증했다. 전체 플랫폼 광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5% 올랐다.

 

커머스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35.9% 성장하며, 탐색·발견에 특화된 AI 개인화 시스템과 N배송 확대, 멤버십 혜택 강화를 통해 실적을 견인했다.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의 이용자 경험 고도화와 함께, 스마트스토어 거래액도 12.3% 늘었다.

 

금융 분야인 핀테크 역시 AI 데이터 기반 고도화로, 네이버페이 결제액이 22조7000억원으로 전년비 21.7% 확대됐다. 콘텐츠 부문은 웹툰과 AI 기반 스노우 앱의 유료 구독자 확대효과로 매출이 10% 증가했다. 엔터프라이즈도 GPUaaS, 라인웍스 유료 ID 성장에 힘입어 3.8% 올랐다.

 

특히 이번 실적은 AI를 활용한 실시간 정보 분석 및 맞춤형 추천 등, 실제 이용자 편의성과 플랫폼 경쟁력 강화에 초점이 맞춰졌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구글, 아마존 등과 같이 AI와 검색·커머스·핀테크 융합 모델을 가속화하는 경쟁이 진행 중이다. 네이버도 ‘온 서비스 AI’ 전략 아래, AI 고도화를 기업 전반으로 확산하며 대응에 나섰다.

 

정책·규제 측면에서는 개인정보보호, AI 투명성 등 추가 과제가 남아 있다. 네이버는 업계 표준 준수와 글로벌 윤리 기준 대응을 병행하면서 AI 기반 서비스 확장에 방점을 두고 있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네이버가 AI 역량을 기반으로 중장기 글로벌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서비스와 사업 전반의 AI 고도화가 수익 창출로 이어지는 구조가 자리잡았다”며, “AI 에이전트 환경을 겨냥한 미래 성장 기반 마련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해, 국내 플랫폼 경쟁 구도를 바꿀지 지켜보고 있다.

서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네이버#ai#커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