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저소득 가구 소득지원 강화”…근로장려금, 2025년 8월 정기 지급 개시
산업

“저소득 가구 소득지원 강화”…근로장려금, 2025년 8월 정기 지급 개시

신도현 기자
입력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의 2025년 정기 지급이 올해 8월부터 순차적으로 시작된다. 지난 6월 2일 정기 신청이 마감된 이후, 지급을 기다리는 저소득 근로자 및 사업소득자들의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근로장려금 제도는 근로 또는 사업소득이 있는 저소득 가구에 현금성 지원을 제공, 근로 의욕 촉진과 소득 불균형 해소를 목표로 운영된다.

 

2025년부터 근로장려금 수급자격은 단독가구의 경우 연 소득 2,200만원 이하, 홑벌이 가구는 3,200만원 이하, 맞벌이 가구는 4,400만원 이하로 확대되며, 가구당 재산 합계가 2억4천만원을 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저소득 근로자 지원이 가능해졌다. 정기신청 종료 후 추가로 접수하는 기한 후 신청자는 신청일로부터 4개월 이내, 늦어도 내년 1월까지 장려금이 지급되지만, 이때 지급액은 5% 삭감된다. 또한 가구 재산이 1억7천만원 이상 2억4천만원 미만이면 지급액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출처: 국세청
출처: 국세청

자녀장려금의 경우 소득세 자녀세액공제와 중복 신청이 가능하나, 이미 세액공제된 금액만큼 장려금 산정액에서 차감된다. 국세 체납액이 있으면 지급액의 최대 30%가 체납 충당에 우선 사용된다. 정기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등 모든 장려금은 국세청 홈택스와 모바일 손택스를 통해 신청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통합됐다. 반기 근로장려금은 상반기분이 12월 말, 하반기분은 이듬해 6월 말에 각각 지급된다.

 

업계 및 현장에선 저소득층 근로장려금 확대에 긍정적 시각이 많지만, 감액 조건 강화가 실제 체감 소득 개선엔 한계라는 의견도 제기된다. 국세청 등 관계기관은 “신청 편의 확대 및 체계적 심사로 수급대상자의 누락, 중복 지급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근로 및 자녀장려금이 저소득 근로계층 생활안정에 중요한 안전망 역할을 하고 있으나, 감액 제도와 소득·재산 기준 현실화 등 정책 미세조정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며 “장기적으로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확장이 병행돼야 실효성이 커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책과 제도의 정밀화가 향후 국내 소득지원 생태계의 핵심 과제로 부상한다는 분석이다.

신도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근로장려금#자녀장려금#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