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유족회 회장 비위 의혹 감사 착수”…국가보훈부, 서류 위조·임금 착복 진상 규명 나섰다
5·18민주유공자유족회 회장과 주요 간부를 둘러싼 비위 의혹을 두고 국가보훈부가 본격 조사에 착수했다. 진정서가 접수된 데 이어 감사 일정이 연장되며, 5·18유공자단체 내부 갈등 양상이 새로운 정국 쟁점으로 떠올랐다.
21일 국가보훈부는 최근 유족회 회원들로부터 접수된 진정서를 근거로, 양재혁 회장과 간부 A씨의 직권 남용 및 임금 착복, 서류 위조 의혹 등에 대한 진상 조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보훈부는 지난 13일부터 정기 감사를 실시하던 중 추가 진정서를 받아 감사 기간을 내달 7일까지 연장했다.

진정서에는 양재혁 회장이 공법단체 전환 직후 자격 요건 미비 인사를 부적절히 회원으로 가입시키고, 당시 국가보훈부의 증빙 자료 요구에 위조 서류를 제출했다는 정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채용 비리로 정직 처분을 받은 특정 지부장에 대한 징계를 임의 경감하거나 번복한 점, 공용 차량의 사적 사용 등 단체 품위 훼손 논란도 쟁점이 됐다.
아울러 간부 A씨가 최근 지부 사무국장 채용 과정에서 근로계약서를 교부하지 않고, 해당 직원의 급여 중 일부를 착복했다는 의혹 역시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이에 대해 국가보훈부 관계자는 “진정 내용의 사실 여부를 확인하는 중이며, 위법 사실이 밝혀지면 관련 법령에 따라 엄정히 조치할 방침이다”고 전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5·18단체의 투명성 강화와 공적 책임성이 거듭 요구돼온 만큼, 이번 감사 결과가 시민사회와 단체 내부 신뢰 회복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논란의 중심에 선 양재혁 회장은 "제기된 의혹은 사실이 아니다. 일부 회원이 개인적 감정으로 허위 사실을 꾸며낸 것"이라며, "조사 과정에서 모든 사실을 소명해 억울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강경히 반박했다.
이처럼 유족회 비위 논란이 감사 조사로 확대되면서 단체 신뢰 회복과 보훈단체 관리 강화라는 과제가 동시에 부각되고 있다. 국가보훈부는 내달 초까지 조사 일정을 이어가며 사실관계 확인에 주력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