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5G 인프라 구축 본격 돌입”…KT, 207억 투입해 육·해·공군 통신망 혁신 속도
국방 첨단 통신망 구축 사업을 두고 국방부와 통신업계가 미래 안보 역량 경쟁에 본격 돌입했다. KT가 207억원 규모의 ‘국방 5G 인프라 구축 사업’에 착수하면서, 디지털 기반 안보 혁신에 힘이 실리고 있다. 양측이 지난 13일 관련 착수보고회를 열고 사업 본격화를 공식화했다.
이 사업에서 KT는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를 대상으로 각 작전 환경에 맞는 5G 특화망 설계와 통합관제 인프라 구축을 맡았다. 국군지휘통신사령부에 공통 5G 코어망을 설치하고, 각 군 부대의 특수한 운영 환경을 지원하는 특화 5G 서비스까지 도입할 계획이다. KT 엔터프라이즈부문 이행1본부장 이진권 상무는 “이번 사업은 전군에 적용될 5G 기반 인프라 확산의 출발점이자, KT의 국방 디지털 전문 역량이 집중된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국방부는 관련 첨단 통신 인프라 구축을 통해 실시간 통합관제와 신속한 작전지휘는 물론, 첨단 ICT 기반의 국방 역량 강화에 무게를 두고 있다. 앞서 KT는 차기 국방광대역 통합망(M-BcN), 차세대 국방통합데이터센터(DIDC) 등 주요 국방 인프라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국방 디지털화의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했다.
정치권과 국방 전문가들은 이번 인프라 구축이 안보 환경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각 군 작전 능력에 획기적 전환점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안보 신뢰성은 물론 대국민 재난·통신 안정성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통합관제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제기됐다.
정부는 향후 사업 진행 상황을 면밀히 검증하는 한편, 추가적인 디지털 전력화 사업을 검토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