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같은 거짓, 손사래 치는 85년생”…운세로 보는 자아 방어와 일상 해석
요즘은 하루를 띠별·나이별 운세로 시작하는 이들이 많다. 예전에는 점괘나 운세가 그저 재미로 여겨졌지만, 지금은 삶의 지도를 찾는 생활의 한 풍경이 됐다. “오늘 85년생은 진짜 같은 거짓엔 손사래를 쳐야 한다”고 적힌 글귀 하나에 숨은 내 마음을 읽는 사람들이 점점 늘었다.
직장인 유정은(1985년생) 씨는 출근 전 모바일로 띠별 운세부터 확인한다. 곁들여진 “진짜 같은 거짓, 손사래 치라”는 메시지에 괜히 등 뒤가 간질거렸다며 “마음속 본심을 들킨 것 같았다”고 고백했다. 또래 모임에서는 “요즘은 운세 읽는 게 당연해졌다”며 운세 게시글 공유가 익숙한 인사가 되고 있다.

이런 변화는 숫자로도 드러난다. 국내 한 조사기관에 따르면, 20~40대 응답자 3명 중 2명은 ‘운세 앱이나 온라인 점보기’를 일주일에 한 번 꼴로 이용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단순한 점괘 대신 소셜미디어에서 쉽게 확인하고, 또 서로 나누는 행위가 일상이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흐름을 ‘자기 위로와 확인 욕구의 반영’이라 해석한다. 심리상담가 손효주 씨는 “요즘 운세 읽기는 불확실한 사회에서 자기 감정을 간접적으로 탐색하는 방식”이라고 느꼈다. 예민해진 현실에서 직접적으로 묻거나 드러내긴 어렵지만, 운세 한 줄을 빌려 생각을 비추는 셈이다.
커뮤니티 반응도 흥미롭다. 해당 운세 글이 올라오면 “나도 거짓에 손사래 치고 싶다”, “최근 있었던 일과 딱 맞아서 놀랐다”는 댓글이 이어진다. 익명의 공간에서 각자 삶의 실마리를 찾으려는 모습은 이미 보편화됐다. 어느새 “이런 게 당연해졌다”는 체감이 커진다.
사소한 운세 한 줄을 매일 읽는 풍경. 그 안에는 고단함을 달래고, 자신의 기준을 세우려는 어른들의 소박한 심리가 깃든다. 진짜와 거짓, 현실과 위로의 경계에서 우리는 작지만 단단하게 하루를 살아낸다. 작고 사소한 선택이지만, 우리 삶의 방향은 그 안에서 조금씩 바뀌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