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핵심 광물 직접 확보”…미국, 리튬 아메리카·태커 패스 광산 지분 매입에 산업 파장

송다인 기자
입력

현지시각 9월 30일, 미국(USA) 에너지부가 캐나다 등록 희토류 기업 ‘리튬 아메리카(Lithium Americas)’와 네바다주 ‘태커 패스(Thacker Pass)’ 광산 프로젝트의 지분 각각 5%를 직접 취득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내 배터리 및 전기차 핵심 광물 공급망을 사실상 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전환점으로, 국제 원자재 시장과 주요 산업 투자 흐름 변화에 즉각적 주목을 받고 있다.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태커 패스 광산 건설은 미국의 최선의 이익에 부합한다”며, “수년 내 대량의 수입 리튬이 국산 생산으로 대체될 것”이라고 밝혔다. 리튬 아메리카와 미국 자동차 기업 제너럴모터스(GM)가 추진하는 태커 패스 프로젝트는 전체 지분 중 리튬 아메리카가 62%, GM이 38%를 소유하고 있다. GM은 6억2천500만달러를 투자해 생산량의 우선 구매권을 20년간 확보했다.

미국 정부, ‘리튬 아메리카’·‘태커 패스’ 광산 지분 5% 취득…핵심 광물 확보 확대
미국 정부, ‘리튬 아메리카’·‘태커 패스’ 광산 지분 5% 취득…핵심 광물 확보 확대

리튬 아메리카와 GM은 지난 2024년 미국 정부와 협의를 거쳐, 시초에는 에너지부가 22억달러 대출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기업들이 일부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서 대출 구조조정, 외부 자본 조달 등 방식 논의가 이어졌고, GM이 시장 상황과 무관한 리튬 구매 의무를 거부하면서 정부가 직접 지분 취득으로 전략을 전환했다.

 

에너지부에 따르면 태커 패스 1단계가 완공되면 연 4만톤의 배터리용 탄산리튬을 생산, 미국 내 전기차 80만대에 투입하는 규모다. 현재 미국 내 리튬 생산은 ‘앨버말’이 네바다에서 연 5천톤 미만의 생산량을 기록하고 있어, 이번 프로젝트로 미국 리튬 공급망이 크게 강화될 전망이다.

 

이 같은 미국 정부의 광물 공급망 확장 정책은 중국 공급망 의존도 축소라는 전략적 목표와 맞물려, 여당·야당을 막론한 초당적 지지를 받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는 최근 들어 전략 광물·첨단산업 자원 확보를 위해 기업 지분 취득 등 미증유의 직접 개입을 확대 중이다. 국방부의 ‘MP머티리얼스’ 최대주주 등극, 인텔 지분 확보 사례도 연일 이어진다.

 

GM, 리튬 아메리카 등 주요 투자사와 글로벌 공급망 기업들은 정부 리스크 관리 및 정책 지원을 바탕으로 대형 첨단광물 개발 속도를 높이는 분위기다. 워싱턴포스트 등 주요 외신은 “미국이 주요 광물 권익까지 직접 챙기는 전략 전환은 신냉전 자원정책의 시그널”로 해석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정부 주도의 핵심 광물 확보 정책이 배터리, 전기차 및 공급망 관련 기업에 결정적 변화를 예고한다”며, “향후 미국 내 광물 자립과 제조업 투자 확대 흐름이 강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제사회 역시 미국 정부의 직접 개입 기조가 주요 산업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송다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미국#리튬아메리카#태커패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