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2년 만에 풀려난 투자은행 거물”…중국 바오판 전격 석방에 업계 촉각
국제

“2년 만에 풀려난 투자은행 거물”…중국 바오판 전격 석방에 업계 촉각

조현우 기자
입력

현지시각 8일, 중국(China) 매체 차이신은 투자은행 ‘차이나르네상스’(華興資本)의 바오판(Bao Fan) 전 회장이 2023년 2월 구금된 이후 약 2년 만에 석방됐다고 보도했다. 바오 전 회장은 현재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상태로, 법적 신분과 관련한 추가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 같은 조치는 중국 투자업계와 글로벌 금융계에 즉각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바오 전 회장은 중국 대표 IT 및 플랫폼 기업들의 기업공개(IPO)와 인수합병(M&A)을 주도해 온 업계의 핵심 인물로, 갑작스러운 구금과 해제 모두 시장 불확실성의 상징적 사건으로 받아들여진다.

 

바오판 전 회장은 모건스탠리, 크레디트스위스 등 글로벌 투자은행에서 쌓은 경력을 기반으로 2005년 ‘차이나르네상스’ 설립 후 ‘텐센트’, ‘알리바바’, ‘디디추싱’, ‘메이퇀’ 등 굴지의 중국 테크 기업들의 주요 딜을 이끈 바 있다. 사모펀드 시장에도 진출한 그는 2020년 말 기준 88억 달러(약 12조 원) 규모 자산을 운용하며 업계 영향력을 공고히 했지만, 2023년 2월 돌연 공개석상에서 모습을 감췄다. ‘차이나르네상스’ 측은 같은 해 8월 바오 전 회장이 당국 조사에 협조 중임을 밝혔다. 실제로 그는 공산당 중앙기율위원회와 국가감찰위원회 등 감찰기관 소관으로 장기간 조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지난해 2월 건강 문제와 가족사유로 전격 사임했고, 뒤이어 부인이 회장직을 승계한 점도 눈길을 끈다.

‘차이나르네상스’ 바오판 전 회장, 2년여 만에 구금 해제…투자업계 영향 주목
‘차이나르네상스’ 바오판 전 회장, 2년여 만에 구금 해제…투자업계 영향 주목

바오 전 회장의 돌연 구금 및 장기 조사, 그리고 최근의 조용한 석방은 중국 금융 및 테크 업계 사정 리스크의 반복을 상징한다는 평가다. 실제로 지난달 미국(USA) 웰스파고(Wells Fargo) 은행 임원이 중국 방문 중 범죄 조사 사유로 출국 금지를 당한 사례까지 더해, 글로벌 금융계에선 “중국 내 사업환경의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방증”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차이나르네상스’의 경우 바오 전 회장이 실질적 경영에 관여하지 않는 상황이라며 일체의 논평을 거부했지만, 글로벌 투자업계에서는 수천억 위안대 자금이 운용되는 환경에서 주요 창업자의 돌연 부재와 복귀가 미치는 영향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는 바오 전 회장 사례를 “중국 리더십이 경제와 금융질서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현상과 맞닿아 있다”고 해설했다. 영국(Britain) BBC도 “중국 내 규제 강화 현안의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평했다.

 

전문가들은 바오판 전 회장의 석방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 기업 경영의 불확실성이 단기간 해소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앞으로도 중국 정부의 사정 리스크와 글로벌 투자 트렌드 변화가 맞물리며 업계 내 외국계 진입 장벽 및 신뢰도 문제가 주요 변수로 지목되고 있다. 국제사회는 이번 석방이 중국 금융시장의 안정성과 투자환경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하고 있다.

조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바오판#차이나르네상스#중국투자업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