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셧다운이 미 경제 ‘근육’ 갉아먹어”…미국, 정부 마비에 하루 21조 원 손실·불확실성 확대
현지시각 15일, 미국(USA) 재무부가 워싱턴D.C.에서 연방정부 셧다운이 2주 넘게 지속되면서 미국 경제에 하루 150억 달러(약 21조 3,000억 원) 규모의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셧다운 사태는 미국 경제체력 약화와 투자심리 위축 등 직접적 충격을 불러일으키며, 정책 불확실성 또한 장기화되는 양상이다.
미국 재무부 스콧 베선트(Scott Besant) 장관은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셧다운이 미국 경제의 '근육'을 갉아먹는 상황"이라며, 장기화될 경우 성장동력 저하와 신산업 투자 차질을 우려했다. 베선트 장관은 CNBC 행사에서도 인공지능(AI) 산업에 대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정부 셧다운이 투자 붐의 최대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셧다운은 미국 정치권의 예산안 합의 실패에서 비롯됐다. 연방정부가 일부 기능을 정지하면서 필수 서비스 외 다수 공공서비스가 중단됐고, 연방공무원의 임금 체불도 이어지고 있다. 미 연방정부는 지난 몇 년간 부채상한 협상과 같은 정치적 교착을 겪은 바 있으며, 이 같은 반복적 셧다운 위험이 미국 경제의 구조적 리스크로 자리 잡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이 이제 '5'로 시작한다"며, 전년 1조8,330억 달러 대비 재정적자가 감소한 점도 언급했다. 이에 따라 2025 회계연도 정부 재정적자 비율이 5%대로 조정된 셈이다.
셧다운 여파는 금융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외환시장과 미국 증시에서 정책 불확실성이 커지며, 변동성이 확대되는 분위기다. 투자업계 역시 셧다운 장기화 시 경제비용이 누적되고 정책 신뢰도가 추가로 약화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 CNBC 등 주요 매체도 셧다운의 경기 위축 영향과 재정 상태 개선 의지를 집중 조명했다. CNBC는 "AI, 반도체 등 신산업 투자가 한창인 시점에 정부 마비가 투자 환경을 흔든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미국 연방 셧다운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단기 성장률 둔화는 물론이며, 시장 내 미국 정부의 경제관리 능력에 대한 신뢰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경고한다. 투자 심리와 디지털 혁신 가속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국제사회와 금융 시장은 연방정부 정상화와 차기 경제지표 발표 등 향후 전개를 주시하고 있다. 이번 셧다운 국면이 미국 및 글로벌 경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