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스타게이트’ 데이터센터 가동”…오픈AI, 미 전역 인공지능 인프라 확장 본격화
2025년 9월 23일(현지 시각), 미국(USA) 텍사스 애빌린에서 오픈AI(OpenAI)의 대규모 ‘스타게이트(Stargate)’ 데이터센터가 첫 가동에 들어갔다. 오픈AI는 이번 준공을 신호로 미국 전역에서 추가 5개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건립 계획을 공식화해 IT 및 인공지능 생태계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현지 시간 23일, 샘 올트먼(Altman) CEO가 직접 애빌린 현장을 찾아 첫 데이터센터의 공식 가동을 선언했다. 오픈AI와 오라클(Oracle), 소프트뱅크(SoftBank)는 4년간 5천억 달러(약 700조 원) 규모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공동 추진해왔으며, 애빌린 단지는 8개 동 중 1개가 먼저 운영을 시작한 것으로 확인됐다. 올트먼 CEO는 테크 허브 지형을 재편할 미 전역 5개 추가 단지 건립을 밝히며, 텍사스 내 두 곳, 뉴멕시코, 오하이오, 미공개 중서부 지역 등에서 연쇄 투자 계획이 진행 중임을 언급했다.

‘스타게이트’에는 오픈AI 외에도 소프트웨어와 클라우드 부문 강자 오라클, 일본 투자 대기업 소프트뱅크가 참여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AI 인프라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미국 각지에 첨단 데이터센터 건설을 가속화하며, 이미 글로벌 클라우드 및 반도체 산업 지형에 미치는 영향이 가시화되고 있다.
미국 데이터센터 확장 흐름에 대해 현지 산업계와 주식시장은 즉각 반응하고 있다. AI 수요 폭증에 따라 서버, 반도체, 전력 등 기반 산업군의 투자 심리와 IT 인프라 수요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뉴욕타임스는 “챗GPT를 비롯한 AI 고도화 경쟁이 미국 내 하이퍼스케일 클라우드 인프라 재편을 촉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대규모 전력 및 자원 소모 문제, 환경적 지속가능성 논란도 부각되는 양상이다. 현지 경제 매체는 “데이터센터 밀집이 전력망 부담과 친환경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고 보도하며 균형 잡힌 성장의 중요성을 짚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오픈AI의 ‘스타게이트’ 본격 가동과 전국적 인공지능 인프라 확대 움직임이 글로벌 AI 주도권 경쟁을 가속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투자자와 산업계의 관심은 향후 추가 단지 준공과 그에 따른 미 IT·클라우드 시장 재편에 쏠리고 있다. 이번 사업이 세계 AI 생태계의 새로운 질서 재편에 얼마나 큰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