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인재, 현장 맞춤 커리큘럼에”…서울시, 글로벌 협업 본격화로 AI 생태계 강화
IT/바이오

“AI 인재, 현장 맞춤 커리큘럼에”…서울시, 글로벌 협업 본격화로 AI 생태계 강화

강민혁 기자
입력

AI 교육의 현장 접목이 가속화하고 있다. 서울시는 28일, 산업계와 협업한 실무 중심 AI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전면 확대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테크기업과 경제단체의 노하우가 더해지면서 실전 맞춤형 커리큘럼을 통해 청년 취업 지원과 AI 인력 확보 경쟁에 본격 불을 붙이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업계에선 실전형 교육과 현장 연계의 확대가 서울 지역 AI 혁신 경쟁의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는 이날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세일즈포스코리아, 인텔코리아 등 국내외 주요 경제단체 및 글로벌 IT 기업과 청년취업사관학교 AI 특화캠퍼스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올해 마포, 종로, 중구로 개편된 AI 특화캠퍼스는 단순 이론에 그치지 않고, 기업이 직접 개발한 실무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등 실전형 교육과정으로 전환된다. 이를 통해 연간 300명의 AI 인재를 집중 양성한다는 전략이다.

기술 교육의 구성은 단계별로 뚜렷하다. 교육생들은 기초 이론, 기업이 설계한 실무 프로젝트, 산업 현장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개발까지 전 주기에 걸쳐 훈련받게 된다. 특히 기업이 직접 참여해 최신 AI 트렌드와 산업 수요를 반영한 프로젝트형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점이 기존 공공 교육과 다른 차별 지점이다.

 

이번 모델은 마이크로소프트, 세일즈포스, 인텔 등 글로벌 기업의 교육 커리큘럼 전문성과 산업 현장 기술이 융합되는 방식이다. 기업들은 실무 중심 프로젝트와 현직 전문가 특강을 제공하면서 참여도를 높이고, 대한상공회의소는 산업계의 수요를 반영해 취업 연결과 시설 운영에 힘을 싣는다. 서울시는 행정적 안정과 정책적 지원을 기반으로, 현장 연계 교육의 진화를 꾀한다.

 

시장성과도 눈에 띈다. 서울시는 올해 말까지 25개 자치구별 청년취업사관학교를 모두 개관해, 연간 4000명의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취업 지원과 고품질 AI 교육을 제공한다는 목표다. 단순 이론교육이 아닌, 기업 현장에서 곧바로 적응 가능한 즉시실무 중심의 커리큘럼, 취업상담, 일자리 매칭데이 등 맞춤형 서비스가 집중된다.

 

해외 주요 도시들도 빅테크와 연대한 AI 인재 양성 경쟁이 치열하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런던 등은 현장 기반 AI 실무교육 프로그램의 글로벌 표준화를 추진 중이다. 서울시의 이번 ‘민관 협력 교육 생태계’ 구축이 이들과 견줄만한 모델로 성장할지 주목된다.

 

한편, 서울시는 인공지능 산업 활성화를 위해 교육 지원을 포함한 정책 및 행정 기반도 강화한다. 청년취업사관학교 AI특화캠퍼스와 함께 서울형 라이즈, 서울AI허브 등 다층적인 교육·산업 플랫폼이 함께 돌아갈 예정이다. 공공데이터 활용, 윤리적 AI 교육, 글로벌 인증 연계 등도 확대할 예정이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글로벌 기술기업과 협력이 확대되는 이번 사업이 산업 현장과 기업이 원하는 AI 인재를 육성하는 대표 모델로 자리잡길 기대한다”며 “실무교육부터 고급 과정까지 전방위 AI 인재 양성 체계를 구축해 글로벌 AI 선도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전력하겠다”고 말했다. 산업계는 현장 중심형 AI 교육 확산이 실제 일자리 창출과 산업 혁신의 실질적 촉매가 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서울시#청년취업사관학교#마이크로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