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D 이니셔티브로 평화 강조"…이재명 대통령, 유엔 안보리 토의 첫 주재
정치권이 국제 무대에서의 외교 전략을 두고 치열한 구상을 펼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한국 정상으로서는 최초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공개 토의를 직접 주재한다. ‘인공지능(AI)과 국제평화·안보’를 주제로 열린 이번 토의에서 이 대통령은 책임 있는 AI 사용 촉진과 국제 규범 정립을 핵심 의제로 제안할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전날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민주 대한민국’의 세계무대 복귀를 공식화하며 한반도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종합안 ‘엔드(END) 이니셔티브’를 제시했다. 이에 따라 국내외에서는 이 대통령의 이번 행보가 글로벌 책임 국가로서 신기술과 안보 이슈에서 선도적 역할을 강화하는 신호탄이라고 해석하는 분위기다.

유엔 안보리 토의에는 안보리 이사국 15개국을 비롯해 약 80개국이 참가할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주요 외교 소식통은 “이 대통령이 AI 규범과 국제평화의 접점을 강조하는 것 자체가 첨단기술 시대 국제사회의 규범 논의에서 한국의 위상을 각인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상외교 일정도 숨가쁘게 이어졌다. 토의에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이탈리아, 프랑스, 폴란드 정상과 연쇄 회담을 가지고 경제와 안보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전날에는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우즈베키스탄·체코 정상과 잇따라 만나 한반도 평화에 대한 지지와 협력 확대를 요청하는 외교노력도 병행했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에서 외교·안보 분야 오피니언 리더들과 만찬을 갖고 한반도 정세와 국제관계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날 만찬 자리에는 토마스 번 코리아소사이어티 회장, 강경화 아시아소사이어티 회장, 수잔 앨리엇 미 외교정책위원회 회장, 캐슬린 스티븐스 코리아소사이어티 이사장, 이언 브레머 유라시아그룹 회장, 다니엘 커츠-펠란 포린어페어스 편집장 등 영향력 있는 인사들이 참석해 다각도의 한반도 평화 방안이 오갔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번 이재명 대통령의 안보리 토의 주재와 한반도 종합 평화구상 제시가 국제사회에서의 주도권 확대와 함께 향후 남북관계, 동북아 정세에 미칠 파급효과에 주목하는 기류다.
정부는 이번 안보리 토의 후에도 주요국과 연쇄 정상회담, 다자 외교 일정을 이어가며 AI·평화안보 등 글로벌 현안에서 선도적 중재자 역할을 확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