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기업 대응 한계”…SKT 해킹 사태, 사이버 보안 체계 ‘경보’

전서연 기자
입력

사이버 공격이 통신산업 전반의 구조적 취약성을 다시금 드러내고 있다. 최근 SK텔레콤에서 발생한 대규모 해킹 피해는 민관의 협력 없이 단일 기업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줬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방송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정부 민관합동조사단도 도왔으나 아직 해킹의 주체를 특정하지 못했다”며 “사실상 단일 기업이 해킹에 전면 대응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업계는 이번 발언을 ‘글로벌 안보 위기 속 사이버 방어체계 개편’의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SK텔레콤 사례는 고도화·지능화되는 해킹 그룹의 양상을 반영한다. 실제로 국내 주요기업을 공격하는 세력은 국가 차원의 조직력과 첨단 기술을 동원한다는 점이 확인되고 있다. 박충권 의원은 “북한 등 실체가 명확한 국가급 해킹 조직과 맞서 싸우는 과제는 기업의 역량만으로 감당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해킹 사건의 원인을 규명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체계적인 조사와 정보 공유가 필수라는 목소리가 커진다.

특히 이번 사태는 기존 기업 보안 체계의 ‘방어만으로 충분하지 않다’는 점과, 관·민·군 협력이 필요하다는 산업 내 공감대를 형성했다. SK텔레콤뿐 아니라 글로벌 통신사는 최근 AI 기반 위협 분석, 분산형 복원 시스템 등 차세대 보안 솔루션 도입을 늘리고 있지만, 공격조직의 자원·집단적 수준에 미치기 힘들다. 미국·유럽 등도 국가 차원 사이버 커맨드(지휘본부) 신설과 정책적 대응에서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국내 기업 상당수는 해킹 피해 신고시 과징금·규제 리스크까지 부담해야 하는 복합적 현실에 직면한다. “터졌을 때만 발표된다”는 현장의 불안감도 쌓이고 있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피의자 추적·대응 지원, 기업 신고 시스템과 데이터 관리·예방 환경을 강화할 지 여부에 주목받고 있다. 한 정보보호 연구자는 “사이버 위협이 늘수록 보안 대응도 국가 전략 자산이 된다”며 “규제와 공공-민간 협력 체계 전환이 성장 조건이 될 것”이라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해킹 사태가 시장 신뢰와 정책 개편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주시 중이다.

전서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유영상#sk텔레콤#해킹사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