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안전사고에 무거운 책임감”…정정래 코레일 사장대행, AI 예측 시스템 도입 강조
철도안전사고를 둘러싼 국민적 비판이 거세지는 가운데, 정정래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사장직무대행이 대전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책임을 인정하고 공식 사과했다. 최근 경부선 무궁화호 사고로 인해 노조와 사측, 정부 사이의 안전 논쟁이 재점화된 데 따른 조치다.
정정래 사장대행은 21일 "최근 발생한 철도안전사고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며 "사고에 따른 작업 중지로 열차 지연이 계속되는 점도 국민께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철도 안전에 대한 국민 우려를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강조하며, 노사정이 함께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철도 안전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대행은 업무보고에서 "직원 안전을 위해 기존 작업방식과 환경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겠다"며 "특히 안전 분야에 인공지능(AI)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현장 위험을 사전 예측하고, 첨단 유지보수 시스템을 도입하겠다"고 약속했다. 현장 근로자 안전 확보와 더불어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한 점에서 주목된다.
지난 8월 19일에는 경북 청도군 남성현역과 청도역 구간 경부선 선로에서 동대구역을 출발해 경남 진주로 가던 무궁화호 열차가 선로를 이동 중이던 근로자 7명을 치는 사고가 발생해 2명이 숨지고 여러 명이 부상당했다. 사고 이후 열차 지연과 안전 운행에 대한 국민적 불신이 커져 코레일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정치권에서는 철도 작업환경 개선과 안전관리 강화 방향을 놓고 여야 모두 대응 필요성에 뜻을 모으는 분위기다. 다만 사고 재발 방지 대책과 인력 충원 방안 등 구체적 이행계획을 두고 다양한 의견이 오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기술 도입과 관리 감독 강화가 병행돼야 현장 안전이 실질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날 국회는 코레일을 상대로 철도안전사고 대응책 마련 촉구와 향후 인프라 개선에 대한 질의를 이어갔다. 코레일은 노사정 TF를 통한 종합대책 발표와 AI 기반 예측 시스템 도입 등을 중심으로 후속 조치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