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북극항로 대비 부산 인프라 연계”…전재수, 해수부 이전 의지 재확인
정치

“북극항로 대비 부산 인프라 연계”…전재수, 해수부 이전 의지 재확인

김다영 기자
입력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둘러싸고 정치권 논의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공공기관 지방 이전 및 지역 투자 확대 정책을 두고 해수부의 부산 이전과 동남권투자공사 신설 계획을 내세우며 정책의 동력을 강조하고 있다. 2030년 북극 항로 개통을 앞두고 인프라 연계에 대한 기대와 변화가 제기되는 상황이다.

 

전재수 장관은 지난 10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2030년 북극 항로 활성화에 대비해 부산의 항만 인프라와 해수부를 연계해야 한다”며 “동남권투자공사 유치도 병행해 신속한 투자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해수부 이전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다”며 “한반도 남단에 새로운 경제권력과 성장엔진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고 언급했다. 또한 “부산을 북극성 프로젝트의 중심 해양수도권으로 키워내겠다”고 강조했다.

출처=뉴시스
출처=뉴시스

해수부 부산 이전에 따른 내부 직원들의 불편 및 반대 의견과 관련해서는 “정부, 부산시, 예산당국과 함께 업무 불편을 최소화할 방안을 적극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전 비용이 1600억원에 이를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전 장관은 “아직 구체적으로 특정하기 어렵다”며 “임시 청사, 임대비용, 정주여건 개선 등 다양한 변수에 따른 예산이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전재수 장관은 동남권투자공사를 3조원 규모로 출범시키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레버리지를 적극 활용해 약 50조원 규모의 투자 재원을 신속히 확보할 수 있다”며 각종 규제 없이 지역 산업 투자에 속도를 내겠다고 부연했다. 이에 따라 부산‧경남 지역의 산업 전반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얻게 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부산시장 출마 여부와 관련된 질문에는 즉답을 피했다. 전 장관은 “장관직은 실적과 성과를 내는 하나의 도구일 뿐”이라며 “새로운 남부 수도권을 반드시 만들어내겠다”고만 밝혔다.

 

정치권은 해수부 기관 이전 문제를 놓고 찬반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부산 지역 민심과 기관 텃밭을 둘러싼 여야 수싸움 역시 재점화되는 분위기다. 부산 이전 정책의 실효성과 향후 예산 투입 규모, 지역 성장 효과에 대한 검증 논쟁이 이어질 전망이다. 정부는 향후 해수부 이전 및 동남권투자공사 설립을 위한 구체적 로드맵을 마련하고, 관계기관 협의에 착수할 예정이다.

김다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전재수#해양수산부#부산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