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산업진흥법 제정 시급”…남경주, 국감서 정부 적극 지원 촉구
뮤지컬 산업화 방안을 둘러싼 현장 예술계 요구와 정부 정책 방향이 국정감사에서 정면으로 맞붙었다. 29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 출석한 뮤지컬 배우 남경주는 “정부가 제도적·정책적으로 뮤지컬산업진흥법을 지원해야 산업화를 앞당길 수 있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남경주는 참고인 신분으로 “뮤지컬산업진흥법이 꼭 통과돼 (정부가) 지원에 나서면, 뮤지컬계가 대한민국의 문화 브랜드로서 국위선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대해 “한국 뮤지컬이 세계의 관심을 받고 있는 지금,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산업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며 “주도권을 놓치면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늦춰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 뮤지컬계의 성장이 대부분 민간 노력에 힘입어 왔음을 강조했다. “대극장 공연 한 편에만 100억원, 중소형도 30억~50억원의 제작비가 들어간다”며 “민간이 떠안기에는 한계가 뚜렷한 만큼, 정부의 인식 전환과 실질적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설명을 덧붙였다.
이에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도 “장관 취임 전 뮤지컬 티켓 판매업계에 몸담으며, 뮤지컬 산업의 확장 속도를 체감해 왔다”며 남경주의 문제의식에 공감을 표했다. 또 “전 세계적으로 우리 문화가 집중 조명을 받는 지금이 새 산업을 창출할 중요한 기회”라며, “특히 대구의 국립뮤지컬콤플렉스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뮤지컬산업진흥법의 처리를 두고 찬반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이 법안은 지난해 6월 발의돼 현재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위원회 심사를 거치고 있는 중이다. 주요 내용은 뮤지컬 관련 지식재산권 보호 정책, 국내 창작 뮤지컬 수출 지원, 지역 산업 생태계 육성 방안 등이다.
업계에서도 정부의 선제적 지원이 한국 뮤지컬의 한 단계 도약을 이끌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반면, 일각에서는 정책 지원의 실효성·재정적 부담과 같은 구체적 쟁점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신중론도 제기된다.
뮤지컬산업진흥법의 국회 통과 여부와 정책 방향은 향후 문화산업의 성장 속도와 지방 산업 균형 발전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국회는 해당 법안을 지속 심사하며, 연내 처리를 위한 논의를 이어갈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