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3법·노란봉투법 격돌”…8월 임시국회 앞두고 여야 정면 충돌
방송3법과 노란봉투법 등 주요 쟁점 법안을 앞세운 여야의 대립이 8월 임시국회 소집을 앞두고 격화되고 있다. 각 당이 첨예한 갈등 속에서 치열한 법안 처리를 예고하면서 정치권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7월 31일 “여야의 요구에 따라 제428회 국회(임시회)를 8월 6일 오후 2시 집회한다”고 공고했다. 이에 따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8월 임시국회를 무대로 방송3법, 상법, 노란봉투법 등 쟁점 현안을 두고 정면 승부에 나설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은 7월 임시국회가 끝나기 전까지 방송3법 등 핵심 법안을 처리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당 관계자는 “꼭 7월 임시국회 내에 주요 법안을 처리하겠다”고 밝히며 신속한 처리를 거듭 강조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8월 4일 마지막 본회의에서 무제한 토론(필리버스터)으로 맞대응한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쟁점 법안의 졸속 처리는 막아야 한다”고 전했다.
이 같은 입장차에 따라 방송3법 등 상당수 쟁점 법안은 7월 국회에서 처리가 사실상 어렵게 됐다. 결과적으로 8월 임시국회 일정이 다시금 법안 싸움의 무대가 될 전망이다. 각 정당의 입장도 완강하다. 더불어민주당은 사회적 요구를 내세우며 강행 의지를 강조하는 반면, 국민의힘은 쟁점 법안이 정쟁화됐다며 강력 저지를 예고했다.
정치권 일각에선 방송3법 등 법안처리 방식과 국회 진통이 향후 총선을 앞두고 민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여야 지도부는 휴가철 일정과 맞물린 임시국회 기간에도 긴밀한 비상 대응 체계를 가동할 전망이다.
국회는 8월 임시국회 첫 회의를 앞두고 쟁점 법안 등을 둘러싼 여야의 표 대결이 거세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정당별 물러섬 없는 대치가 반복되면서, 8월 정기국회 계류법안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