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첫 주미대사 강경화 사실상 내정”…방미 앞두고 외교 라인업 속도
외교 라인업 재정비를 둘러싼 긴장감 속에 이재명 대통령이 조만간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을 주미대사에 내정할 가능성이 급부상했다. 한미정상회담과 한일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이 대통령이 주요국 대사 임명에 속도를 내며 정국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정치권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미·일·중·러 등 4강 대사 인선을 최종 조율하고 있다. 18일 한 여권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조만간 주요 4강 대사를 임명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특히 강경화 전 장관이 주미대사로 사실상 내정 단계에 있다는 평가가 힘을 얻고 있다.

조현 외교부 장관도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4강 대사 중 일부 국가에 대해서 아그레망 절차가 진행 중"이라며 임명 절차가 본격화됐음을 시사했다. 이와 더불어 "정상회담 준비가 차질 없이 이뤄지고 있다"고 밝혀, 곧 인선 결과가 공개될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렸다.
강경화 전 장관은 주유엔 대표부 공사, 유엔 사무총장 정책특별보좌관을 거쳐, 문재인 정부에서 초대 외교부 장관을 역임한 인물이다. 그간 정치권 내에서는 임성남 전 외교부 1차관, 조병제 전 국립외교원장 등이 주미대사 후보로 언급돼 왔으나, 최근 기류는 강 전 장관 쪽으로 급선회했다.
주일대사 인선 역시 관심이 모인다. 이혁 전 주베트남 대사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으며, 그는 외교통상부 아시아태평양국장 및 기획조정실장과 일본 공사를 거친 인물로, 일본 현지 경험이 풍부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이 첫 방미 일정을 앞두고, 보다 안정적인 대외 메시지를 구사하기 위해 외교 라인업을 재구성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주중대사와 주러대사의 경우 아직 인선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로 알려졌다.
국회에서는 대사 임명 절차를 놓고 신중론과 조속 임명 필요성이 맞서고 있다. 특히 한미·한일 정상 간 협의가 목전으로 다가오면서, 신임 대사들의 외교 무대 데뷔 시점에 정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는 늦어도 정상회담 전까지 핵심 주요국 대사 인선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번 인선이 한미·한일 외교 구도를 재편할 신호탄이 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