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모빌리티 시범도시 예산 첫 관문 통과”…광주, 국회 추경 심사 고비
정치권의 예산 심사에서 광주 인공지능 모빌리티 국가 시범도시 조성 예산이 첫 관문을 넘어서며, 지역 전략 산업 육성을 둘러싼 미묘한 긴장감이 다시 떠올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가 AI 모빌리티 국가시범 도시 구축을 위한 연구용역비 10억원을 정부 2차 추가경정예산안에 포함시키며, 최종 예결산특별위원회 심사를 남겨두고 있다.
2일 광주시와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의원에 따르면 해당 예산은 국회 국토위 논의를 거쳐 조정 후 예결위로 넘겨졌다. 광주시는 이번 사업이 대선 전부터 공약에 포함됐고,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국정 과제 진입에 힘써왔다고 설명했다. 정준호 의원 역시 국토위 소속 의원으로 적극적인 지원에 나섰다.

AI 모빌리티 국가시범 도시는 기존 자동차 산업의 미래차 전환과 인공지능 기술 융합을 통해, 기업 실증·테스트베드 기능을 갖춘 ‘메가 샌드박스 시범 신도시’ 조성을 목표로 한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빛그린 국가산업단지와 미래차 국가산업단지에 규제 프리존 메가 샌드박스 도입을 건의하며, 광주형 신산업 생태계 구상에 주력해왔다.
연구용역 예산 확보 가능성에 광주시는 한층 높은 기대감을 드러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전날 시청 정례 조회에서 “무능한 시장, 준비 안 된 광주시로 한순간에 낙인찍히고 말았다”고 눈물을 보이며, “AI 미래 모빌리티 신도시의 밑그림을 올해 안에 선보이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이재명 대통령 타운홀미팅에서 언급된 광주 전략산업 지원 준비 부족 지적을 의식한 듯, 승부수를 띄운 모습이다.
정치권에서는 예산 통과를 두고 여야가 신산업 예산의 지방 균형 분배, 전략산업 우선순위 배정 등을 둘러싸고 신경전을 벌여 왔다. 특히 AI와 미래차 실증단지 구상이 실제 지역 산업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을지, 지역 민심도 주목하고 있다.
향후 국회 예결위 심사 결과에 따라 광주 AI 모빌리티 신도시 사업 성패가 좌우될 전망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추경안에 최종 반영될 수 있도록 끝까지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국회는 이번 예산안을 두고 각 정당의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은 가운데, 본회의 표결까지 치열한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