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방조 혐의 참고인 소환”…특검,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조사 집중
내란방조 혐의를 둘러싼 수사와 정치적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내란 및 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을 '불특정 제3자'의 내란 방조 혐의로 소환해 참고인 조사를 벌이고 있다. 노 전 사령관이 특정 시기, 내란 모의와 연관된 인물과 빈번한 통화를 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수사 확대 움직임에 관심이 쏠린다.
조은석 특별검사팀 박지영 특검보는 4일 브리핑에서 "재판에 넘겨지지 않은 제3자의 내란 방조 혐의와 관련해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특검보는 이어 "특정 시기 특정 인물과 통화가 자주 이뤄졌다면 해당 인물이 내란 행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의심할 수 있다"며 "다만 이런 은밀한 행위는 대포폰, 즉 차명 휴대전화 사용이 많아 통화 상대의 신원 특정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수사팀은 노상원 전 사령관이 12·3 비상계엄 관련 논의가 집중된 시점에 특정 인물과 통화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박 특검보는 "모의가 진행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에 집중적으로 통화한 인물이 있다면, 그에게 노 전 사령관의 내란 가담 행위에 대한 방조 혐의를 적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노 전 사령관을 이 사건의 참고인으로 소환한 배경에는, 내란 방조 혐의 자체의 의미보단 노 전 사령관과 수사팀 간 신뢰관계 구축, 수사 확장성 확보 목적도 있다"고 덧붙였다.
정치권은 내란 방조 혐의를 둘러싼 특검 수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야권은 "엄정한 수사와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놓았고, 여권은 "근거 없는 의혹 제기는 신중해야 한다"며 신중론을 내세웠다. 전문가들 역시 "12·3 관련 수사가 수면 아래 다양한 인물로 확장될 경우, 정국에 크나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한다.
수사 방향과 관련해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대포폰 사용 등 추가 단서를 확보할지, 또 다른 참고인 소환으로 이어질지 이목이 집중된다. 이날 특검팀은 해당 사건에 대해 신중한 기조 속에서 수사 외연을 넓혀가고 있다. 정치권은 내란 방조 혐의 뿐 아니라, 향후 수사가 윗선 인지 및 지시 여부 규명까지 확대될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